[책과 길] ‘허구’ 지적하는 史料를 들이대다… ‘독도의 진실’

입력 2012-08-16 18:28


독도의 진실/강준식/소담출판사

올해 광복절엔 어느 해보다 독도 이슈가 달아오르고 있다. 8·15에 즈음해 이명박 대통령이 국가원수로서는 처음으로 독도를 방문했고, 런던올림픽 축구 대표팀 박종우 선수의 ‘독도 세리머니’가 논란을 일으킨 데 이어 가수 김장훈은 독도 수영 횡단까지 나섰다.

한·일 간 영유권 갈등을 빚고 있는 독도 문제의 이슈화는 바람직한가? 이를 두고 찬반논란도 뜨겁다. 하지만 정작 한국의 영유권 주장은 얼마나 논리적 설득력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현실진단 노력은 부족하지 않은가. 이런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저자는 ‘독도는 우리 땅’이라고 당연하게 생각해온 것만으로 충분한가라고 물음을 던진다.

1905년 일본은 독도를 자기네 땅으로 편입시켰다. 1945년까지 독도의 이름은 다케시마였다. 섬 이름이 독도로 되돌려진 것은 1946년 맥아더 사령부가 훈령 677호를 발령하면서부터였다. 이후 독도는 우리가 실효지배하게 됐지만, 일본은 강력한 로비 끝에 독도를 미확정 지역으로 만드는 데 성공한다.

특히 독도 문제에서 미국이 일본을 편드는 논리적 근거는 1910년 한일병합보다 5년 앞서 행해진1905년 일본의 독도 편입을 합법적으로 본다는 것이다. 이처럼 국제여론은 일본 쪽에 기울어 있다. 이를 믿고 일본도 ‘국제사법재판소 제소’를 전가의 보도처럼 휘두르고 있지 않은가.

저자는 ‘지피지기백전백승’의 정신으로 일본인들이 대체 어떤 근거와 논리를 가지고 우리와 국제사회를 상대로 영유권을 주장하는지 살펴본다. 일본이 부정하고 있는 독도의 옛 이름 ‘우산도’의 존재 근거를 찾기 위해 역사적 기록과 증언을 샅샅이 뒤진다.

하지만 결과는 실망스럽고 분통스럽다. 여러 고지도에 우산도가 그려져 있지만 이것이 독도라고 입증할 만한 문헌적 뒷받침이 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우산도의 이름이 가장 먼저 나오는 태종실록을 예로 들자.

“안무사 김인우가 우산도를 다녀올 때 우산도에는 열다섯 가구에 남녀 모두 86명이 살고 있다고 했다. 사람이 살고 있지 않는 무인도에 86명이 산다면 과연 독도가 맞는가? 삼국사기에 (기록이) 나오는 것도 우산도가 아니라 우산국이다.”(37∼38쪽)

이런 갑갑한 상황에서 저자는 무릎을 칠 만한 단서를 찾는다. 1900년 고종은 독도가 대한제국의 영토라는 사실을 선포한 것으로 볼 수 있는 ‘대한제국 칙령 제41호’를 발령했다. 울릉도와 그 부속 도서를 울도군으로, 도감을 군수로 격상하며 반포한 것이다. “군청의 위치는 태하동으로 정하고, 구역은 울릉 전도(全島)와 죽도(竹島), 석도(石島)를 관할할 것.”(33쪽)

저자는 여기 등장하는 석도가 독도라 주장한다. 우선 여러 증언과 증거를 통해 독도가 ‘돌섬(독섬)’이라는 것을 증명했다. 당시 주민 태반이 전라도 출신이었기에 ‘독섬’은 ‘돌’을 ‘독’으로 발음하는 전라도식 방언에서 나왔다는 것이다.

독섬을 독도로 처음 표기한 것은 일본이었다는 사실도 알아낸다. 칙령 제41호에서 ‘독섬’을 ‘석도’로 표기했는데, 비슷한 시기 일본 해군은 이것을 독도로 표기했음을 밝혀낸 것이다. 1900년의 대한제국 칙령 제41호에 나오는 석도는 결국 독도이며, 이것이 입증된 이상 1905년 일본의 독도 편입은 불법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미국도 더 이상 일본을 편들 수 없고, 국제사법재판소에 가려고 하던 일본도 동력을 잃게 된다.” 사료를 바탕으로 왜 우리 땅인지 설득력 있게 제시하는 저자의 솜씨가 돋보이는 책이다.

손영옥 선임기자 yosoh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