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폭탄 군산시민들 “특별재난지역 지정을”… 피해액 100억 이상 추정, 자영업자들 큰 타격
입력 2012-08-15 19:13
8시간동안 441㎜의 ‘물 폭탄’을 맞아 큰 피해를 입은 전북 군산시민들이 수해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해주길 호소하고 있다.
전체 피해액이 100억원이 넘을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피해 지역이 중앙동과 월명동 등 자영업체들이 몰린 곳이어서 특단의 대책이 있어야 한다는 목소리다.
15일 전북도와 군산시에 따르면 12∼13일 집중호우로 입은 피해액이 이날 낮 12시 현재 98억5000만원으로 추정됐다.
이번 집중호우로 군산에서는 산사태로 절개지 3만4000㎡와 군산산업단지의 도로 200m가 유실됐다. 또 군산산업단지내 공장 등 31곳의 생산라인이 물에 잠겼다. 여기에 소룡동, 산북동, 문화동 지역에서 주택 1047가구와 상가 916동이 침수되고 이재민 111명이 발생했다. 차량도 1200여대나 파손됐다. 이 밖에 농경지 3481㏊가 물에 잠기고 가축 폐사가 잇따랐다. 군산상고와 중앙초교 등 학교 8곳도 침수피해를 입었다. 공공시설 피해액만 29억여원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피해집계가 누락된 곳이 추가로 집계될 경우 공공시설 피해는 40억원에 이를 전망인데다, 개인 신고도 잇따르고 있어 전체 피해액은 100억원을 훌쩍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이에 시민들은 정부가 군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해 복구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지역 김관영(민주통합당) 의원실도 “민주당에서 군산시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세균 민주통합당 대선 경선 후보도 전날 수해지역에서 일손을 거들고 정부에 지원을 요청하겠다고 말했다.
군산시 관계자는 “전문가의 정밀 조사를 거쳐 정확한 피해규모가 파악되면 특별재난지역 지정 신청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특별재난지역 지정은 정부와 합동 조사 결과, 전체 피해액이 75억원 이상 발생해야 가능하다.
한편 수해 지역에서는 시·도 공무원과 소방서·경찰·군부대 인력, 민간구조대 등 1500여명이 사흘째 복구 작업을 벌였다. 전북도와 군산시는 17일까지 응급복구를 마치고 27일까지 합동 조사를 한 뒤 완전 복구에 나설 계획이다.
군산=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