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MB 위안부 문제제기 당연하다
입력 2012-08-15 18:42
日, 치졸한 반응 집어치우고 책임 있는 조치 취해야
이명박 대통령이 일본을 겨냥해 연일 강수를 두고 있다. 독도를 전격 방문한 데 이어 그제는 한국교원대에서 열린 ‘학교폭력 책임교사 워크숍’에 참석해 “일왕이 방한하고 싶다면 독립운동 하다가 돌아가신 분들 찾아가서 진심으로 사과하면 좋겠다”고 했다. 일왕에게 사과를 요구한 것이다. 그러면서 “(일왕이) ‘통석의 염’이니 이런 단어 하나 찾아서 올 것이라면 올 필요 없다”고 말했다.
그리고 어제는 제67주년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일본군 위안부(성노예) 문제를 들고 나왔다. 이 대통령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와 올바른 역사에 반하는 행위이자, 양국 차원을 넘어 전시(戰時) 여성인권 문제”라고 규정했다. 이어 전 인류적 문제인 만큼 일본 정부는 책임 있는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일본의 허무맹랑한 독도 영유권 주장이 이 대통령의 독도 방문을 불러온 것처럼 이 대통령이 위안부 문제를 정면으로 거론한 것 역시 일본의 미온적인 태도가 주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1930년대부터 1945년까지 일본은 10대에서 40대의 우리나라 여성들을 군 위안소로 끌고 가 하루에 10명 이상의 군인을 상대로 성행위를 강요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피해자들은 지금까지 육체적 정신적 고통을 겪고 있다. 우리나라는 물론 국제사회가 범죄 사실 인정과 사과, 배상을 촉구하고 있으나 일본 정부는 요지부동이다. 이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노다 요시히코 총리와의 교토 정상회담 때 생존 위안부 할머니 평균 연령이 86세라는 점 등을 들어 일본이 사과할 기회를 놓쳐선 안 된다고 지적했음에도 시큰둥한 반응을 보였다.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수요집회’가 어제 일본 대사관 앞에서 열렸다. 1035번째다. 20년 이상 지속되고 있는 위안부 할머니들의 호소를 일본은 외면하고 있다. 대만 등 세계 10여개 지역에서도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사과와 배상을 촉구하는 집회가 열렸다. 광복절을 맞아 이 대통령이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책임 있는 조치를 요구한 것은 적절했다.
일본은 여전히 정신 차리지 못하고 있다. 이 대통령의 일왕 관련 발언에 대해 “유감스럽다”(노다 총리), “예의를 잃은 발언”(마쓰바라 진 국가공안위원장)이라는 말을 쏟아냈다. 마쓰바라 공안위원장과 하타 유이치로 국토교통상은 발끈해 A급 전범이 합사된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했다. 정치 지도자라는 사람들의 사고와 행동이 너무 옹졸하다.
때마침 일본에 의해 강제 징용된 사할린 한인 인구수가 해방직후 47%나 감소했으며, 이는 일본 군국주의자들이 한인들을 살해한 결과라는 러시아 정부의 공문서가 나왔다. 역사의 진실은 언젠가 밝혀지기 마련이다.
일본 정부는 위안부 문제를 비롯해 과거사에 대해 모르쇠로 일관하는 자세를 고쳐야 한다. 그래야 한·일관계가 회복되고, 국제사회로부터 경제력에 걸맞은 대우를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