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된 해파리 관리 부처 통합을”… 일원화 통한 종합대책 마련
입력 2012-08-14 21:59
지난 10일 8세 여아가 해파리에 쏘여 사망하면서 해파리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하지만 소관 부처들은 해파리를 잡는 데만 급급할 뿐 근본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립수산과학원 해파리대책반 윤원득 박사는 최근 해양학회지에 실린 ‘해파리 대량 발생의 연구동향’이라는 보고서에서 “국내 해파리 대책은 개체수를 줄이는 데만 중점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농림수산식품부는 지자체별로 해안 지역에서 대대적인 해파리 제거 작업을 벌이고 있고, 국토해양부는 시화호에서 해파리 알주머니인 ‘폴립’을 없애고 있다. 지난해 기준 해파리 관리 사업 예산은 6억여원이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해파리를 무조건 없애면 또 다른 생태계 교란을 일으킬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 정미희 박사는 “해파리 문제는 특정 생물 하나가 아니나 생태계 전체로 접근해야 한다”며 “수질 개선이나 친환경적인 인공 구조물을 설치하는 등 근본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해파리를 관리하는 부처가 다 제각각이다 보니 종합적인 대책 마련이 어렵다는 점도 지적했다. 해파리로 인해 수산업 피해가 발생하면 농림수산식품부가 담당 부처가 되지만 근해에서 사람이 쏘이면 국토해양부 소관이 되는 등 종합적인 관리가 어렵다는 것이다. 윤 박사는 “일본은 노무라입깃해파리가 대량으로 나타나자 수산청을 총괄 기관으로, 수산총합연구소를 연구기관으로 지정하는 등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했다”며 “해파리 등 유해생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통합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