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 준공영제 광주시 올 300억 부담… 임금·유류비 인상 불가피

입력 2012-08-13 20:05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실시하는 광주시가 올해 시내버스 운전사의 임금과 유류비 인상 요인이 발생해 300억원 정도의 재정을 부담해야 할 것으로 예상됐다.

13일 광주시에 따르면 서울과 부산, 대구 시내버스 노사가 올해 임금을 기본급 기준 3∼3.5% 인상을 하기로 해 광주 시내버스 운전사의 임금 인상이 불가피하다.

해마다 타 자치단체의 임금협상 결과가 광주 시내버스 노사의 임금협상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올해도 임금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또 시내버스 연료인 천연가스(CNG) 요금이 전년보다 5% 정도 오른 상태다.

이에 따라 준공영제 원가의 83%를 차지하는 인건비와 유류비 인상요인이 발생, 광주시의 재정 부담도 커지게 됐다.

광주시 관계자는 “애초 시내버스 준공영제 예산으로 268억원을 확보해 놓았으나 유류비가 인상되고 임금 인상요인이 발생함에 따라 준공영제 예산이 300억원 정도로 늘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준공영제로 인해 재정부담은 불가피하지만 준공영제 원가를 면밀히 분석해 예산을 최대한 줄이는 방안을 찾고 있다”고 덧붙었다.

광주시는 준공영제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2007년 196억원, 2008년 293억원, 2009년 288억원, 2010년 354억원, 지난해 313억원을 시내버스회사에 지원했다.

준공영제에 따른 재정 지원이 해마다 증가하는 가운데 지난해에는 버스요금을 인상해(성인 교통카드 사용 기준 950원에서 1100원으로 인상) 재정 지원 몫을 줄였었다.

광주시 관계자는 “해마다 시내버스 요금을 인상할 수 없는 만큼 정부가 매년 100억∼200억원을 국비로 지원해줘야 지방재정 압박을 덜 수 있다”고 말했다.

광주=이상일 기자 silee06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