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녹조는 4대강 보 탓”-환경부 “기록적인 폭염 때문”… 녹조원인 논란 본격화

입력 2012-08-13 19:01

올여름 전국 강을 뒤덮어 식수난 위협을 제기했던 녹조현상과 4대강 사업의 연관성 논란이 본격화되고 있다.

이번에는 박원순 서울시장이 포문을 열었다. 박 시장은 13일 한 라디오 방송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4대강 사업을 위해 건설했던 보(洑)가 한강 녹조 현상을 부를 수 있는 만큼 철거를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한강 자체가 보에 갇혀 강보다 호수 같은 성격이 있다”면서 “강물은 흘러야 하는데 댐이나 보로 가둬놓으면 이번처럼 녹조 사태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보를 철거하는 게 어떤지 충분히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시장은 또 “이번에 녹조현상이 심화한 건 북한강의 여러 댐 때문인데 강의 연안에 생겨나는 오염물질을 최대한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청계천도 인공적인 거라 생태적인 하천인지 검토해 봐야 한다”면서 “한강도 자연적인 흐름이 안 되니 수영을 하는 등 한강을 즐기기가 어렵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박 시장이 녹조현상에 4대강 책임론을 제기한 데 대해 강한 불쾌감을 나타냈다. 정부 관계자는 “이해할 수 없다”며 “무책임한 정치공세”라고 말했다. 또 보 철거는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일축했다.

국토해양부는 “4대강 사업과 전혀 상관없는 북한강에서 녹조현상이 가장 먼저 발생했고, 피해도 가장 컸다”면서 “이는 녹조현상과 4대강 사업이 전혀 상관없음을 입증하는 분명한 사례”라고 거듭 설명했다.

환경부는 기록적인 폭염과 가뭄이 녹조현상의 핵심 원인이라고 반박했다. 가뭄이 지속됐던 지난달 20일부터 지난 8일까지의 강수량은 예년의 5%에 불과했다는 것이다. 환경부는 11일과 12일 전국에 많은 비가 내린 후 한강을 중심으로 녹조가 완화됐지만, 앞으로 간헐적으로 비가 오더라도 당분간 녹조현상이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느려진 유속이 녹조 생성에 기여하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낙동강의 가동보는 댐과 달리 물을 가두는 것이 아니라 수량을 확보하면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보가 생기면서 수량이 늘어나 오염물질 농도가 낮아지는 희석 효과와 함께 총인처리시설 확충과 준설로 인한 유기물 제거 등으로 수질을 개선시키는 요인도 강화됐다는 것이다.

그러나 환경단체와 일부 교수들은 녹조현상의 원인이 고온뿐 아니라 많은 댐과 최근 완공된 보들 때문에 느려진 유속이 결정적이라고 반박하고 있어 논란은 수그러들지 않을 전망이다.

임항 환경전문기자,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