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후보 검증도 못하게 하는 박근혜 지지자들
입력 2012-08-13 22:56
새누리당 대선 후보 경선에 나선 박근혜 의원의 지지자들이 김문수 후보를 해당 행위자로 간주하며 비판을 확대하고 있다. 김 후보가 합동연설회를 통해 공천 뒷돈 의혹을 제기하고 고 최태민 목사의 사진을 삽입한 홍보 동영상을 잇따라 상영하며 박 후보를 맹공격한데 따른 것이다. 대통령이 되겠다고 나선 집권당 후보들이 당내 경선 하나 제대로 치르지 못하는 것 같아 실망감이 크다.
새누리당 경선 연설회에서 김 후보가 “박근혜 후보의 최측근이 공천장사를 했다”거나 “정수장학회를 깨끗이 정리해야 한다”고 언급할 때마다 관중석에서는 야유가 쏟아진다고 한다. 김 후보의 멱살을 잡은 사람이 있는가 하면 계란 투척 사태도 벌어졌다. 박 후보를 지지하는 당원들이 그의 대통령 당선을 염원해서 저지른 일이라고 생각되지만 도가 지나치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대통령이 되겠다고 나선 사람을 검증하는 것은 자연스런 일이며 반드시 필요한 일이기도 하다. 박 후보 측은 검증이 지나쳐 네거티브로 변하면 다른 당 후보들만 유리해질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논리가 약하다. 자기 당 경쟁 후보의 네거티브도 방어하지 못하면서 다른 당 후보를 이길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말이 안 되기 때문이다. 또 네거티브는 남이 당선되지 못하게 하는 선거운동으로 공직선거법에서도 보장하고 있다.
터무니없는 사실을 지어내 후보를 공격하는 흑색선전이나 ‘아니면 말고’ 식의 마타도어는 철저하게 뿌리 뽑아야 한다. 그러나 유권자 입장에서 품을 수도 있는 합리적 의혹을 제기하는 네거티브운동조차 해당행위 운운하며 회피하는 것은 유력 경선 주자로서의 자세가 아니다. 후보들의 정보 접근에 한계가 있는 국민을 대신해 의혹을 제기하는 것조차 악의적 비난이라고 몰아칠 수 있는가.
경선에 출마한 정치인은 속성상 자기의 약점은 감추는 대신 아름다운 모습으로 치장해 멋진 모습만 보여주려는 유혹을 뿌리치지 못한다. 이 점에서는 박 후보도 예외가 아니다. 더욱이 박 후보의 측근인 총선 당시 공천심사위원이 비례대표 공천을 미끼로 뒷돈을 받은 의혹을 받아 당에서 제명되고 검찰 수사를 받는 마당에 이를 공격하는 것을 비난할 수 없을 것이다.
정당 민주화는 양보할 수 없는 민주주의의 기초이자 뿌리다. 박 후보가 위기에 처한 새누리당을 여러 차례 구한 공을 아무도 부인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당원과 국민 지지도에서 다른 후보를 압도하고 있지 않은가. 그가 1등이 아니면 다른 후보가 공격할 생각도 갖지 않을 것이다. 검증을 두려워하고 회피하는 것은 선두주자로서의 모습도 아니다. 정정당당하게 대응하고 자신의 주장을 소신있게 펼치는 모습을 국민은 원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