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제2금융 211조 부동산대출 대대적 실태조사
입력 2012-08-12 19:47
금융감독원이 제2금융권의 부동산담보대출 실태에 대한 대대적인 조사에 착수했다. 211조원에 이르는 부동산담보대출의 부실이 심각하다고 판단되면 대출 규모 축소 등 대응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금감원은 제2금융권 금융회사들로부터 부동산담보대출 관련 자료를 넘겨받아 현황을 점검 중이라고 12일 밝혔다. 제2금융권에서 부동산담보대출을 다루는 곳은 농협 등 상호금융사, 저축은행, 보험사, 할부금융사다. 이들의 부동산담보대출 잔액(211조원)은 한국은행이 집계한 총 여신 309조원의 68.3%에 달한다.
금감원은 먼저 주택담보대출 82조2000억원의 담보가치인정비율(LTV) 수준과 LTV 한도 초과 대출 실태를 확인할 계획이다. 제2금융권의 LTV는 상호금융사 50∼65%, 저축은행·할부금융사 60∼70%, 보험사 50∼60%로 은행(50∼60%)보다 느슨한 편이다. 과거에는 대출을 늘리기 위해 LTV를 80∼90%까지 높이기도 했다. 한도를 넘겨 대출하려고 신용대출로 꾸미는 이면 담보 계약도 적잖은 것으로 알려졌다. 은행과 달리 담보가치를 제대로 평가하지 않았을 가능성도 적지 않다.
또 금감원은 제2금융권 부동산담보대출 가운데 기타부동산담보대출 비중이 61%로 높은 만큼 상가·공장·토지·임야 등을 담보로 한 부동산대출 전반으로 조사를 확대할 예정이다. 제2금융권의 기타부동산담보대출 규모는 128조8000억원이다. 기타부동산담보대출에는 LTV가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부실 위험성이 더 크다.
금감원 관계자는 “최근 저축은행이 부실해지면서 농협 등 상호금융이나 새마을금고에서 부동산담보대출이 많이 늘어났다”며 “상황이 심각하다고 판단되면 부동산담보대출을 점진적으로 축소하도록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