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지도부 “내주 초 두 玄 제명”
입력 2012-08-10 18:54
4·11 공천헌금 의혹에 대한 새누리당 진상조사위원회가 10일 첫 회의를 갖고 현영희 의원과 현기환 전 의원을 불러 자체 조사키로 의견을 모았다. 하지만 당 지도부는 진상조사위 결론과 무관하게 다음주 초 최고위원회의와 의원총회를 열어 이들을 최종 제명키로 했다.
진상조사위는 12일 2차 회의에 4·11 총선 공천 당시 당 기획조정국장을 불러 공천 신청 및 심사 절차가 어땠는지 확인한 뒤 13일 이후 현 의원과 현 전 의원을 순차적으로 소환해 금품수수 의혹을 심문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날 3시간가량 진행된 회의는 이번 사안에 한해 신속한 조사를 주장한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 측과 치밀하고 광범위한 조사를 요구한 비박(非朴·비박근혜) 주자 측 위원들 사이에 설전이 오갔다.
김태호 의원이 조사위원으로 추천한 이희용 변호사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회의 시작과 동시에 박 전 위원장 측에서 현 의원과 현 전 의원 소환조사로 마무리하자는 식으로 얘기했다”며 “그래서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 측과 우리 측이 두 사람을 조사하려면 당시 비례대표 공천 과정 정도는 알아야 한다고 반박했다”고 전했다. 결국 절충안으로 기획조정국장을 먼저 조사한 뒤 두 사람을 부르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 따라서 양측이 서로의 주장을 고집할 경우 향후 진통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이와 별도로 진행된 주요당직자회의에서 당 지도부는 현 의원과 현 전 의원 제명을 ‘조속히’ 확정하기로 결정했다. 서병수 사무총장은 기자들과 만나 “13일 오전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의원 신분이 아닌) 현 전 의원 제명을 처리하고 현 의원 제명을 위한 의총도 곧바로 소집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사가 시작되는 단계에서 제명 방침을 정한 지도부의 결정을 놓고 당 안팎에서는 “진상조사는 결국 요식 행위냐”는 뒷말이 나오고 있다. 현 전 의원의 경우 오전 제명이 확정되면 오후에 열릴 진상조사위 조사에는 당원 신분이 아닌 상태로 임하게 된다. 홍일표 대변인은 이에 대해 “본인들이 강하게 복당을 원하고 있는 만큼 당원 신분이 아니라도 조사에 협조하지 않겠나. (지도부도) 그렇게 본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김문수 경기지사 측 김용태 의원이 진상조사위가 열리고 10여분 뒤 회의장을 빠져나가자 파행으로 치닫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지만 개인 일정 때문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김 의원은 이날 별다른 주장을 내놓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