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대통령 독도 첫 방문] 끊임없는 日 망언·도발에 쐐기… ‘단호한 외교’ 과시

입력 2012-08-10 18:50


이명박 대통령의 10일 독도 방문은 ‘우리 땅을 수호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대내외에 천명하기 위한 포석으로 해석된다. 일본 정부가 지난달 발표한 2012년 방위백서에서 8년 연속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며 도발을 지속하는 상황에서 직접 행동으로 “더 이상의 역사 왜곡은 용납하지 않겠다”고 선전포고를 한 셈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한민국 대통령의 첫 독도행을 계기로 우리 정부의 대일 외교 원칙이 ‘조용한 외교’에서 ‘단호한 대응’으로 전환될 것이라는 전망이 유력하다. 이 대통령은 “현 정부뿐 아니라 차기 정부도 고수할 수 있는 한·일 역사 문제에 대한 대응 원칙을 세워 놓을 수 있다면 현재 진행형인 일본과의 외교 마찰은 감수해도 된다”는 입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동안 일본 측의 잇따른 망언과 도발이 우리의 소극적 외교 대처 때문이라는 국민 여론이 적지 않았던 만큼 이 대통령이 이 같은 비판에도 쐐기를 박으려 했다는 관측이 가능하다.

이 대통령이 일본에 강경한 모습을 보인 것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해 12월 한·일 정상회담에서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총리가 주한 일본 대사관 앞 ‘평화비’ 철거를 요청하자 “성의 있는 조치가 없으면 위안부 할머니들이 돌아가실 때마다 제2, 제3의 동상이 설 것”이라고 맞받아친 것은 유명한 일화다.

국내 정치적으로는 측근 비리가 잇따라 불거지며 본격화된 레임덕(임기말 권력누수)을 최대한 늦춰보겠다는 의도가 엿보인다. 10%대까지 추락한 국정수행 지지도를 끌어올리고 국민들로 하여금 “정치권 눈치를 보기보다는 묵묵히 국정을 수행하는 대통령”이라는 이미지를 갖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야권 일각에서 독도 방문을 ‘MB의 임기말 최대 모험수’라고 폄하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이 대통령의 독도 방문은 그야말로 전격적으로 이뤄졌다. 평소부터 ‘우리 땅 독도에 국가원수가 가는 것은 당연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이 대통령이 취임 첫해부터 해마다 독도 방문을 검토했지만 이런 저런 여건이 맞지 않아 실행에 옮기지 못했다고 한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원래 (대통령이) 실행 계획을 갖고 있었다가 갑자기 결정한 것으로 안다”면서 “전날 대통령이 결정하고 구체적인 지시를 내렸다”고 전했다. 외교통상부 장관이나 국방부 장관이 아닌 환경부·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대동한 것이나 소설가 이문열, 김주영씨와 동행한 것도 대통령이 직접 정했다는 후문이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