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장학회·유신 관료들이 박근혜에 고액 후원금”
입력 2012-08-09 22:01
민주통합당은 9일 새누리당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고액 후원금 내역을 공개하며 “박 전 위원장이 정수장학회와 유신 관료들에게서 특별후원을 받고 있다”고 공격했다.
민주당이 공개한 ‘박 전 위원장의 2004∼2011년 고액후원금 내역’에 따르면 정수장학회 최필립 이사장과 부인 및 자녀 3명, 그리고 이창원 사무처장은 2008∼2010년 각자 연간 500만원∼1000만원씩 총 4500만원을 후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수장학회 장학생 출신 인사들의 모임인 ‘상청회’ 김삼천 회장과 김기춘 전 회장은 2005년부터 지난해까지 연간 500만∼1000만원씩 총 4000만원을 후원금으로 냈다. 또 저축은행 불법 인수 의혹이 제기된 박 전 위원장의 조카 부부는 2004∼2011년 3300만원씩 총 6600만원을 후원했다. 2008년 발생한 재벌가 자제들의 주가조작 사건으로 유죄판결을 받은 선병석 전 뉴월코프 회장은 2006∼2010년 세 차례에 걸쳐 1500만원을 후원금으로 냈다. 선 전 회장은 2006년 이명박 대통령이 서울시장에 재임할 당시 국가대표 테니스 선수들과의 시합을 주선해 사회적 물의를 빚었던 ‘황제 테니스’ 사건의 주인공이다.
박기춘 원내수석부대표는 “박 전 위원장의 후원자들은 정수장학회 관계자, 비리연루자, 유신시대 고위 관료 등으로 포진돼 있다”며 “박 전 위원장이 주장하는 경제민주화나 복지정책과는 아주 거리가 먼 사람들”이라고 지적했다.
고액 후원자 중에는 19대 총선에서 새누리당 지역구나 비례대표 공천 신청자가 있었다. 서울 지역 공천을 신청한 남모씨는 2007년 17대 대선 경선 때 박 전 위원장에게 1000만원을 후원금으로 냈다. 또 비례대표를 신청했던 정모, 이모, 유모, 육모, 이모씨 등은 2005년 이후 1인당 400∼1000만원씩 총 3300만원을 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 중 실제로 공천을 받은 사람은 없었다.
민주당은 고액 후원자 가운데 직업과 주소, 생년월일을 밝히지 않은 ‘묻지마 고액 후원자’가 각각 27%, 13%, 23%나 되는 점도 문제를 제기했다. 민병두 의원은 “같은 집안에서 이름을 빌려 법정한도를 넘어 후원한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며 “이런 관행이 과거 한나라당에서부터 지배해 왔기 때문에 새누리당 공천헌금 사태가 터진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박 전 위원장 경선 캠프의 이상일 대변인은 “중앙선관위가 아무런 문제를 삼지 않는 합법적 후원금”이라며 “야당의 치졸한 정치공세”라고 반박했다. 박 전 위원장을 후원하는 개인들이 합법적인 절차를 거쳐 자발적으로 후원금을 냈고 모든 내역이 중앙선관위에 신고된 만큼 문제가 될 게 없다는 입장이다.
엄기영 유동근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