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이어 SKT도 “보조금 폐지”… 소비자·판매점 “우린 어떡하라고”
입력 2012-08-08 18:42
이동통신사들이 잇따라 할부금 지원을 폐지한다고 밝히면서 소비자와 판매자들이 당황하고 있다. 휴대전화를 구매하려던 소비자들은 구입을 망설이고 있고 판매점들은 수익 악화로 인해 폐점까지 걱정하는 상황으로 몰리고 있다.
SK텔레콤이 지난달 롱텀에볼루션(LTE) 단말기에 이어 아이폰을 제외한 모든 단말기 가입자에 대해 ‘T할부지원금’ 제도를 모두 폐지한다고 7일 밝혔다.
T할부지원금은 SK텔레콤이 단말기 가격 일부를 할부 기간 동안 나눠서 지원하는 보조금이다. SK텔레콤 측은 마케팅 경쟁으로 과열된 시장을 정상화하기 위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KT는 이달 초 LTE 지원금을 폐지했다. LG유플러스는 단말기 할부지원금이 없다.
이에 일부 소비자들은 “우리가 봉이냐. 하루 늦게 가입해서 월 3000∼4000원씩 손해 봐야 하는 사람들은 어떻게 할 거냐”며 항의하고 있다. 할부지원금이 없어질 경우 소비자들은 2년 약정을 기준으로 7만원에서 10만원 정도 더 부담해야 한다.
SK텔레콤 관계자는 “T할부지원금은 시장 상황에 따라 없애거나 다시 생길 수 있는 서비스”라며 일방적인 발표가 아니라고 해명했다.
소비자보다 고민이 깊은 건 판매업자들이다. 현재 국내 휴대전화 유통 시장은 해당 통신사 단말기만 취급하는 대리점과 이 대리점을 통해 단말기를 공급받아 판매하는 판매점으로 이뤄져 있다. 전국 2만5000여개 판매점이 전체 유통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다. 판매점들은 이통사에서 받은 리베이트를 활용해 고객에게 할인 혜택을 주고 있다. 할부지원금이 없어지면 리베이트 비용을 고객에게 더 써야 한다. 이들이 할부지원금 폐지를 반대하는 이유다.
종로의 한 판매점 주인은 “최근 동종업계 관계자들이 문을 닫아야겠다는 말을 많이 하고 있다”면서 “용산 등 대형 판매점뿐 아니라 우리 같은 영세 판매점들은 지난달 말부터 손님이 끊겨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호소했다.
반대로 반사이익을 기대하는 곳도 있다. MVNO(이동통신재판매) 업체들이다. MVNO 관계자는 “단말기 제조업체들은 마케팅 비용을 많이 쓰지 못한다는 이유로 MVNO업체들에 단말기를 주지 않았고 소비자들은 단말기 할부금이 적어 MVNO를 꺼렸다”면서 “이통사와 MVNO 간 마케팅 비용 간극이 줄어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기대했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