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태희 “뇌물공천 비리 접수” 朴 옥죄기 첨병 역할
입력 2012-08-07 22:02
4·11 총선 공천헌금 의혹으로 비상이 걸린 ‘한 지붕’ 새누리당에 ‘세 가족’이 살고 있다. 당 지도부는 사태수습에 안간힘을 쏟고 있지만 비박(非朴·비박근혜) 진영은 야당에 버금가는 공세를 퍼부으며 논란을 더 크게 벌일 태세다. 친박계는 초조함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진상조사 벼르는 비박=비박 진영은 9일에 구성되는 당 진상조사위원회를 통해 공천 전반을 검증하겠다는 각오다. ‘5+2(경선후보 5명+황우여 대표, 김수한 경선관리위원장)’ 연석회의를 통해 ‘현영희 의원, 현기환 전 의원과 관련된 사안만 조사한다’고 발표됐지만 확전에 나선 것이다. 김문수 경기지사 측 진상조사위원인 김용태 의원은 7일 “19대 공천 전반을 조사해야 한다. 당에서는 당시 자료를 폐기했다고 하지만 믿지 않는다”고 했다.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은 캠프에 공천비리접수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트위터에 “새누리당 공천 과정에서의 뇌물공천 비리를 접수 받습니다”라는 글을 올렸다. 그는 진상조사위원으로 19대 총선 때 경기 분당을에 공천을 신청했다가 탈락한 친이명박계 김기홍 변호사를 추천했다. 임 전 실장은 S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의혹이 사실로 밝혀지면 황 대표 사퇴는 수습의 시작이고 마무리는 공천 책임자였던 박근혜 전 위원장”이라고 했다.
◇황우여, “대표 사퇴는 신중해야”=당 지도부는 ‘당이 책임질 일이 있다면 현 대표가 책임을 진다’는 연석회의 합의문에서 ‘책임’의 범위와 의미를 놓고 셈법에 들어갔다. 황 대표는 CBS 라디오에 출연해 “(당에 문제가 터졌을 때) 대표가 사퇴해야 되는지 당 의원총회나 전국위원회에서 논의가 필요하다. 한두 사람이 얘기한다고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라며 ‘대표 사퇴론’에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그러면서 ‘당이 책임져야 될 수준’에 대해 “당이 최소한 공천비리를 인지했거나 비호했을 때”라며 “개인 차원에서 당과 관계없이 은밀하게 지은 죄까지 당이 책임져야 되는지 생각해야 된다”고 말했다.
◇초조한 친박=검찰 수사 결과를 지켜보자는 입장이다. 한 친박 관계자는 “역대 지난 공천만큼 깨끗한 공천이 있었느냐”며 “만에 하나 공천비리가 사실로 드러나더라도 개인비리 차원으로 봐야 한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나 의혹만으로도 박 전 위원장의 대권가도에 초대형 악재가 된 상황에서 내심 추가 비리가 터지지는 않을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박 전 위원장 측 진상조사위원에는 2007년 경선 캠프에서 대변인을 맡았던 검사 출신 김재원 의원이 내정됐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