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黨대표 책임론’ 떠안은 황우여, 취임한 지 3달 만에 퇴진 위기

입력 2012-08-06 19:33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가 5월 당 대표로 선출된 지 석 달도 안돼 위기를 맞았다. 비박(非朴·비박근혜) 주자들과 합의한 대로 4·11 총선 공천헌금 의혹이 사실로 확인되면 ‘책임’을 져야 하기 때문이다. 검찰 수사 결과에 따라 대표직에서 물러나야 하는 상황이 올 수 있다.

황 대표는 6일 국민일보와의 통화해서 “개인의 잘못은 형사 책임으로 갈무리되지만 당 차원의 잘못은 비록 과거 일일지라도 현 당 대표가 정치적으로 책임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당이 (경선 재개로) 안정감을 찾은 것 같아 다행이다. 정당 정치가 원래 그런 것이다. 나는 괜찮다”고 했다.

하지만 측근들은 “억울한 점도 있다”고 말한다. 황영철 대표비서실장은 “비박 주자들 주장의 옳고 그름을 떠나 경선을 정상화해야 한다는 차원에서 내린 결단”이라고 했다. 황 대표가 공천 과정에 직접 개입하지 않았음에도 책임을 물은 비박 주자들을 달래기 위해 희생을 감수키로 했다는 뜻이다.

당 안팎에선 동정과 우려 섞인 반응이 나왔다. 한 당직자는 “책임론이 불거질 때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하는데 몇 차례씩 회의만 진행했고 결국 경선 보이콧까지 갔다”며 “황 대표의 위기관리 능력에 의심이 들었다”고 털어놨다. 그는 “다만 결과적으로 당 위기를 봉합한 점은 인정한다”고 말했다.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 경선 캠프의 이상돈 정치발전위원도 “캠프에선 황 대표가 애썼다는 분위기가 주류”라면서도 “후보가 누가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조기에 선대위를 발족하자고 한 말은 성급했다”고 밝혔다.

동정론은 오히려 야당인 민주통합당에서 더 적극적으로 제기됐다. 이해찬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공천 의혹을) 밝히려고 검찰이 나서고 있는데 이 책임을 황 대표가 지겠다고 한다”며 “공천 지휘는 박 전 위원장과 현기환 전 의원이 했는데 왜 책임을 황 대표가 지나. 앞뒤가 안 맞고 정치를 오래한 저로서도 황당하다”고 말했다. ‘황우여 책임론’으로 경선 파행 사태를 덮을 수밖에 없었던 여당 내 난감한 기류를 비꼬면서 박 전 위원장의 책임을 지적한 것이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