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수요 한때 사상최고… 경보 잇단 상향
입력 2012-08-06 22:00
계속되는 폭염으로 전력 수요가 역대 최고를 기록함에 따라 6일 전력 경보가 한때 ‘주의’까지 상향 조정됐다. 정부는 고장으로 가동 중지됐던 고리 원자력발전소 1호기를 5개월 만에 재가동키로 결정했지만 민주통합당이 반대 입장을 밝히는 등 논란이 일고 있다.
전력거래소는 6일 오전 10시17분 순간 예비전력이 350만㎾ 미만으로 떨어져 전력경보 ‘관심’을 발령했다. 예비전력이 계속 낮아져 300만㎾ 미만인 상태가 10분 이상 지속되자 오전 11시5분 전력경보를 ‘주의’로 다시 높였다. 주의가 발령된 것은 지난해 9·15 정전사태 이후 처음이다.
전력거래소는 이어 오후 5시50분 ‘주의’에서 ‘관심’으로 경보를 한 단계 낮춘 뒤 오후 6시15분 ‘관심’에서 ‘준비(정상)’로 하향 조정했다.
이날 최대전력수요는 오후 2∼3시에 평균 7429만㎾였고 예비전력은 279만㎾였다.
정부와 한국전력은 부하 조정으로 전력 수요를 110만㎾ 줄이고 민간사업자로부터 전력 42만㎾를 추가로 지원받는 등 긴급조치를 했다.
정부는 고리 원전 1호기를 재가동키로 결정했다.
홍석우 지식경제부 장관은 긴급 브리핑을 갖고 “고리 원전 1호기의 안전성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가 높아졌고 지역 주민들과 재가동에 관한 공감대가 형성돼 이같이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고리 원전 1호기가 6일 재가동 준비에 착수해 12일 오후 1시쯤 전기를 생산하고 13일 오후 100% 전력 출력을 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경부는 주민이 추천한 전문가와 한수원이 추천한 전문가로 TF를 구성해 안전성을 검토한 결과 원자로 압력용기의 건전성이 확보됐다는 결론을 얻었다고 재개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민주통합당은 고리 원전 재가동 방침에 대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외면한 독단적인 조치”라며 “국민의 대표기관인 국회 차원의 검증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통합당 우원식 원내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일본의 경우 52개 원전을 모두 정지하고도 전력대란은 일어나지 않았다”며 “고리1호기의 직접 피해지역인 부산지역 시민 71.5%의 폐쇄여론은 배제하고 도대체 어떤 이해도와 공감대가 형성됐다는 것인지 해명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