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1분위, 부채상환여력 취약”

입력 2012-08-05 19:18

소득 1분위(하위 20%) 취약부채가구 비율이 전체 평균보다 4배, 부실위험부채 비율은 3배나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5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2011년 ‘가계금융조사’를 토대로 분석한 ‘가계부문 부채상환여력의 평가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재무여력(소득에서 소비와 부채상환액을 제외한 금액)과 순자산여력(자산에서 부채를 제외한 금액)이 마이너스인 취약부채 가구의 비율은 소득 1분위의 경우 13.48%로 전체 부채가구 평균 3.28%의 4.1배에 달했다. 또한 취약부채가구가 가진 부채액의 비율도 1분위가 10.30%로 전체 평균 3.13%의 3.3배나 높았다.

재무여력과 순자산여력이 동시에 마이너스인 가구는 채무불이행 가능성이 커 보유부채 중 자산을 초과하는 부분이 대출금융기관의 손실로 전가될 수 있다.

전체 부채가구 중 재무여력이 마이너스인 가구 비중은 3분의 1 정도로 매우 높았으며 자산이 빚보다 적어 순자산여력이 마이너스인 가구 비중도 7% 정도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다만 가계 부채 중 73%가 부채상환 여력이 있는 가구(소득 상위 40%)를 중심으로 분포돼 있어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 여력이 적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김영일 연구위원은 “부채상환여력이 취약한 가구가 보유한 부채가 적더라도 이들 중 부실위험이 큰 부채가구 수가 많다는 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맹경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