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국가 인권탄압 美 정치적으로 외면”

입력 2012-08-03 19:42

국제 인권운동 활동가들이 세계 인권의 첨병을 자처하는 미국을 질타했다. 휴먼라이츠워치(HRW), 아메리칸시빌리버티즈유니언, 프리덤하우스 등 대표적인 국제 인권단체 대표들은 2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미국 지도자들을 향해 10개항의 인권지침서를 발표하며 미국이 특정 국가의 인권탄압 행위를 정치적으로 외면해 왔다고 비판했다.

지침서는 특히 러시아와 이집트의 인권탄압 사례를 강도 높게 비판하면서 미국이 그들 정부와 외교·경제 분야에서 안정적인 관계를 유지한다는 명목으로 본연의 인권보호 의무를 저버렸다고 지적했다. 미 국무부의 인신매매 담당 대사를 지낸 조지타운대의 마크 라곤 교수는 “미국은 오랫동안 ‘편리한 동맹(convenient allies)’의 역사를 유지해 왔다”면서 “지난 두 행정부 시절에도 위선적인 태도가 계속됐다”고 꼬집었다.

이날 발표된 지침서는 민주당 대선 후보인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공화당의 밋 롬니 후보 모두에게 전달됐다.

같은 날 뉴욕에서도 미국을 난감하게 할 만한 발표가 이어졌다. 미 정부의 연구비 지원을 받은 의학 실험이 중국 내 강제 수용시설에서 수감자들을 실험대상으로 삼는 등 심각한 인권 침해가 있었다는 것.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는 지난 4월 13일자에 게재된 ‘마약중독자 치료실험’ 연구가 중국 베이징의 수용시설 두 곳에서 이루어졌다는 HRW의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조지프 에이먼 HRW 건강인권국장은 “두 시설에 수감된 약물중독자들이 적법한 절차를 거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인권침해 여부에 대해 감시할 수 없는 폐쇄시설에 갇혀 있었다”고 밝혔다. 중국 내 약물중독자 수용시설은 물리적 학대와 강제노역으로 악명 높아 줄곧 인권단체와 언론으로부터 비난을 받아왔다.

구성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