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폭염에 취약한 계층 세심히 돌봐야
입력 2012-08-03 18:37
전국적으로 폭염이 계속되고 있다. 서울을 비롯한 전국 대부분 지방에 폭염특보가 발령됐고, 열대야가 이어지고 있다. 심지어 지난달 31일 경북 경산의 자동기상관측장비 온도계는 40도를 넘었다.
폭염특보가 발령된 이후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은 서둘러 각종 대책을 내놓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취약노인 보호 대책을 발표했다. 서울시를 비롯한 지자체는 대책본부를 가동했고, 김황식 국무총리는 쪽방촌을 찾아 독거노인들을 위로했다.
하지만 무더위가 절정에 이른 다음에야 정부와 지자체가 뒤늦게 나섰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경기도와 인천에 첫 폭염주의보가 내려진 게 지난 6월 25일이다. 전국적으로 폭염특보가 발령된 지도 10일이나 됐다. 그 사이 열사병 환자는 360여명을 기록했고 7명이 숨졌다. 사망자 중 6명은 65세 이상 노인이었다. 폐사한 가축도 10만 마리가 넘었다. 강과 저수지에서는 녹조가 발생해 수돗물 공급마저 위협하고 있다. 때문에 정부와 지자체는 ‘늑장대처’라는 비난을 받고 있다.
폭염은 인명피해가 큰 자연재해다. 선진국에서도 폭염 사망자는 예외 없이 발생한다. 특히 좁은 방에서 생활하고, 거동이 어려운 독거노인 등 저소득 노령계층의 피해가 많다. 태풍, 집중호우 같이 예기치 않게 일어나는 기상재해와 달리 폭염은 예방활동으로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기상청은 앞으로도 1주일 넘게 폭염이 계속된다고 예보했다. 다소 누그러지더라도 무더위는 다음달 초순까지 계속될 것이라고 한다. 정부와 지자체는 취약계층과 지역 특성에 맞는 긴급구조 활동, 건강관리 지원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 지자체별로 마련한 각종 대책을 종합하고 상황을 점검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응급환자가 발생했을 경우에 대비한 의료 시스템도 다시 점검해야 한다. 동시에 예상치 못한 기상재해로 피해를 본 농어민에 대한 대책도 꼼꼼하게 마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