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공천헌금 파문] 총선 당시 부산에서 무슨일이… “비례 20번 뒤로는 친박 나눠먹기” 소문 파다
입력 2012-08-02 14:51
4·11 총선 당시 도대체 부산에선 무슨 일이 벌어진 걸까. 새누리당 텃밭을 무대로 친박계 핵심 인사들의 ‘공천헌금’ 의혹이 불거진 2일 정치권은 일제히 지난 4월에 시계가 맞춰진 듯 기억을 되살리느라 분주했다.
당시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 체제에서 꾸려진 공천심사위원회는 ‘시스템 공천’으로 국민 눈높이에 부응하겠다는 기치를 내걸고 출범했다. 부산에서는 문재인 민주통합당 상임고문과 문성근 최고위원이 사상과 북·강서을에 출마, ‘낙동강 벨트’를 형성하면서 긴장감이 더욱 고조됐다. 3선 이상 중진 의원들에 대한 교체 여론이 높아지면서 중진들의 지역구엔 정치 신인들이 대거 뛰어들었다. 부산에선 18대 총선 당시 친이명박계 이재오, 이방호 의원의 주도로 친박근혜계 의원들이 대거 공천에서 탈락한 ‘친박 대학살’의 기억 때문에 19대 공천에선 계파 안배가 초미의 관심사였다.
공천 초반인 3월 초 허태열 의원 등 중진들의 탈락에도 불구하고 도덕성 논란에 휘말린 친박계가 공천을 받으며 ‘친박 편중설’이 제기됐다. 지역에선 친박계 중진인 서병수 의원이 부산 공천을 총괄했고 공천심사위원이던 현기환 전 의원이 실행에 옮겼다는 설이 이어졌다. 현영희 의원 사례도 그런 의심을 더욱 부채질했다.
현 의원은 처음에 공천 신청을 4선 정의화 의원의 지역구인 중동구로 냈다. 그러나 친이계인 정 의원은 ‘컷오프’를 통과, 공천을 확정 받았다. 현 의원은 우여곡절 끝에 비례대표로 선회했고 23번을 배정받았다. 당시 여당에서 지역구 공천에서 떨어진 뒤 비례대표 후보자 명단에 이름을 올린 이는 그가 유일했다. 당 안팎에선 ‘상징성’ 등을 감안해 일찌감치 확정된 20번 이내 후보자들과 달리 20번 밖 후보자에 대해서는 ‘친박 인사들이 나눠먹기를 했다’는 설이 끊이지 않았다.
특히 현 의원은 부산의 대표적인 친박계 지지모임인 ‘포럼부산비전’의 공동대표로 지내면서 현 전 의원은 물론 서 의원과도 가깝게 지냈다. 이 때문에 두 사람의 입김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떠돌았다. 현 전 의원은 2일 기자회견에서 “비례대표 심사소위에서 별도 심사를 했다”며 “어떤 누구도 비례대표 후보 신청을 할 자격이 있고, (자격이 됐으니) 당연히 23번을 받지 않았겠느냐”고 반박했다. 서 의원도 “당시 부산에서 내가 가장 먼저 공천이 확정되고 친박계이다 보니 그런 이야기가 나돈 것 같다”며 “손수조 후보 등 젊은 사람들을 발탁해야 한다고 공천 컨셉트에 대한 얘기를 한 적은 있지만 개별적인 공천에 관여한 바는 없다”고 일축했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