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손학규, 외교·대북정책 대결… 민주 후보들 차별화 경쟁
입력 2012-08-02 22:20
민주통합당 대선 주자인 문재인·손학규 상임고문이 2일 나란히 외교 및 대북 정책을 내놓으며 경쟁을 벌였다.
1박2일 일정으로 대구·경북 지역을 찾은 문 후보는 안동 독립운동기념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한·일관계 구상’을 발표했다. 문 고문은 “대통령이 되면 독도, 위안부, 강제징용, 교과서 왜곡, 약탈 문화재 반환 문제 등 5대 사안에 대해 ‘조용한 외교’가 아닌 단호한 방식으로 대처하겠다”고 밝혔다. 문 고문은 이날 캠프 공동선거대책본부장에 충청 출신의 노영민, 이상민 의원과 전남 출신의 우윤근 의원을 내정했다.
손 고문은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한반도평화포럼 창립 행사에 참석해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뜻을 이어 햇볕정책을 계승하고 통일 대통령이 되겠다”고 말했다. 이어 “저는 한나라당에 있을 때도 야당의 위치에서 햇볕정책을 공개적으로 지지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남북 경제안보공동체 수립과 한반도 평화체제 수립을 동시에 추진하는 한반도 중립화 통일 방안을 주장하고 있다.
김두관 전 경남지사는 제주도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참여정부 시절 해군기지 건설이 추진돼 강정마을 주민들에게 고통을 드렸다”며 사과의 뜻을 전했다. 그는 “해군기지 건설은 2005년 고(故) 노무현 당시 대통령이 서명한 ‘세계 평화의 섬 지정 선언’과도 모순된다. 새 정부에서는 해군기지를 전면 재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정세균 상임고문은 PBC 라디오에 출연,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은 극복의 대상이자 연대의 대상”이라고 말했다. 그는 “민주당 후보를 중심으로 정권교체를 해야 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연대를 해서라도 정권교체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준영 전남지사와의 연대에 대해서는 “역동성이 있어야 민주당 경선이 흥행에 성공할 수 있다. 그런 차원에서 단일화가 잘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