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환 고문사태 파장] 中 외교부 “김영환씨 고문 없었다” 주장… 韓·中 외교대립 고조
입력 2012-07-31 22:12
중국이 북한인권운동가 김영환씨 고문 사건에 대해 정면으로 대응하고 나섰다.
중국 외교부 대변인실은 31일 “중국의 주관 부문(국가안전부)이 이번 사건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법에 따라 조사를 진행했다”고 주장했다. 중국 외교부는 또 “중국은 한국인 사건 연루자의 합법 권익을 보장했다”며 “이러한 입장을 한국 정부에 이미 전달했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가 김씨가 구금 기간 중 고문을 당했다고 밝힌 데 대해 이를 전면적으로 부정한 것이다. 김씨가 “4월 10일부터 이레 동안 연속으로 잠 안 재우기 고문을 당했고 6일째 되는 날에는 물리적 압박이 시작됐다”며 “지난 4월 15일 밤부터 다음날 새벽까지 구타와 전기고문이 5∼8시간 정도 지속됐다”고 구체적인 정황 증거를 들이대며 압박 강도를 높이자 맞대응으로 나선 셈이다.
중국 정부는 김씨 일행을 지난 3월 29일 체포한 뒤 3개월여 만인 지난달 20일 석방할 때까지 이에 대해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인민일보 자매지 환구시보(環球時報)가 하루 전인 30일 “한국의 유명 반북 인사가 중국 정부를 기소하겠다고 위협 중”이라고 보도한 게 중국 측 반응으로는 처음이었다.
이제 중국으로선 더 이상 침묵으로 일관해서는 국가 이미지가 크게 훼손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을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특히 김영환씨 석방대책위원회를 중심으로 한국 내 인권, 종교 단체 등이 힘을 합해 국제형사재판소(ICC)에 중국을 고문 혐의로 제소할 움직임을 보이는 데 대해 당혹스러워하는 기색이다.
이에 따라 중국은 앞으로 증거를 제시하라며 한국 측을 압박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고문이 구금 초기에 집중된 탓에 지금은 아무런 증거가 남아 있지 않기 때문이다. 더욱이 중국은 이미 여러 차례 고문 주장을 일축해왔다는 점에서 이러한 입장을 바꿀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인다. 한국 정부는 이에 대해 강력 대응을 공언한 만큼 벌써부터 이규형 주중 한국대사의 본국 소환 얘기도 나온다.
베이징=정원교 특파원 wkc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