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참계열 8000여명 ‘집단탈당’ 가능성… 통진당 쪼개지나
입력 2012-07-29 22:35
이석기 김재연 의원 제명 부결로 직격탄을 맞은 통합진보당이 국민참여당계와 민주노총 계열을 중심으로 조직적 탈당 가능성까지 제기되며 후폭풍이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조기에 수습하지 못할 경우 분열과 지지기반 와해가 현실화되면서 정당 존립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
릐국민참여당계, 떨어져 나가나=천호선 최고위원을 비롯한 국민참여당계 당원 200여명은 29일 대전에서 모임을 갖고 제명 부결 사태에 대한 결의문을 채택했다. 이들은 결의문에서 “통합진보당 일부 의원들이 국민과 당원의 뜻을 짓밟고 이석기 김재연 두 사람의 제명을 부결시킨 것은 역사에 중대한 죄를 지은 것으로 이 결과를 받아들일 수 없다”며 “진보 혁신과 정권교체를 이루기 위해 당 안팎을 아우르는 다양한 모색을 바로 시작한다”고 밝혔다.
유시민 전 공동대표는 회의 전 당 게시판에 올린 글에서 당내 혁신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될 경우 조직적인 집단 탈당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시사했다. 그는 “혁신이 성공한들 그 성공이 별 정치적 의미가 없다고 한다면, 굳이 당 안에서 혁신을 위한 투쟁을 계속할 필요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도 “현재 1500여명이 탈당했지만 그건 순전히 개인적인 탈당”이라며 “참여당계의 당원들이 집단 탈당하면 그 정도로 끝나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통합진보당의 투표권이 있는 당원 5만8000명 중 참여당계는 8000여명이다.
노동자단체 ‘다함께’ 회원들도 집단 탈당을 결의했다. ‘다함께’는 운영위원회를 열고 “최소한의 혁신마저 불가능해진 통합진보당에서 탈당한다”고 밝혔다. 다른 정파들도 물밑 접촉을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신당권파가 당을 뛰쳐나오기가 쉽지만은 않으리란 관측도 있다. 신당권파 핵심인 심상정, 노회찬 의원은 이미 민주노동당, 진보신당을 탈당했던 경험이 있어 또다시 탈당할 경우 정치적 부담이 크다. 개혁당, 열린우리당, 국민참여당 등을 거친 유 전 대표도 마찬가지다. 당분간 서로 적대적인 정파가 동거하면서 정당 기능은 하지 못하는 ‘식물정당’이 될 가능성이 있다.
릐민주노총 등 지지기반도 흔들=통합진보당의 핵심 지지기반인 민주노총도 지지철회 여부를 고심하고 있다. 민주노총은 이미 지난 5월 통합진보당에 대한 지지를 ‘조건부’로 철회한 상황이다. 통합진보당이 혁신한 이후에 다시 지지하겠다는 것이다.
이 조건부 지지철회가 ‘조건부’ 딱지를 뗀 전면 지지철회로 바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민주노총은 다음 달 13일 중앙집행위원회에서 통합진보당 문제를 논의할 전망이다. 민주노총 박성식 부대변인은 “중집위 안건으로 잡혀 있진 않지만 산별노조나 지역노조가 이 문제를 제기하면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노총은 현재 ‘새로운 노동자정치세력화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새로운 정당 지지 등을 논의하고 있다. 민주노총 중앙위 차원의 지지철회가 아니더라도 산별 노조나 단위사업장에서 탈당 움직임이 나올 수도 있다.
이·김 의원 제명 부결 사태의 여진도 계속되고 있다. 의원총회에서 무효표를 던져 사태를 촉발한 장본인인 김제남 의원이 시민단체 녹색연합 출신이라는 점이 알려지면서 녹색연합 홈페이지에는 비난 여론이 빗발쳤다. 녹색연합은 홈페이지에 “김 의원은 녹색연합에서 어떤 직책도 가지고 있지 않다”는 해명을 올리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