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해로 88명 사망·6만여명 이재민”… 北, 지원 바라고 신속발표 했나?
입력 2012-07-29 20:56
북한이 최근 발생한 태풍과 집중호우 피해를 이례적으로 신속하게 밝혀 외부 지원을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통일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29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북한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인도적인 차원에서 언제든 긴급구호를 할 수 있다는 게 정부의 원칙”이라고 말했다.
조선중앙통신은 28일 상당히 ‘심각한’ 북한의 수해 상황을 구체적으로 보도했다. 통신은 지난 18∼24일 발생한 태풍과 집중호우로 북한 전역에서 88명이 사망했고 134명이 부상했다고 전했다. 또 가옥 5000여 채가 파괴되고, 1만2030여 채가 물에 잠겨 이재민은 6만2900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통신은 “농경지 4800여 정보가 유실됐고 2만5700정보가 침수됐다”며 “평안북도 운산군과 천마군, 대관군, 황해남도 은천군, 황해북도 은파군과 단천시, 함경북도 김책시에서 농작물 피해가 크다”고 보도했다.
통일부 측은 대북 수해지원 가능성에 대해 “당국간 대화가 전제돼야 한다”면서 “아직 구체적 지원계획은 없고, 피해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한 뒤 추후 고려할 사안”이라고 밝혔다. 북한이 수용할 경우 인도적 지원에 나서겠다는 입장이어서 이를 계기로 남북 대화국면이 열릴지 주목된다.
북한문제 전문가들은 그러나 북한이 남한에 도움을 요청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전망했다. 북한대학원대학교 양무진 교수는 “피해 상황을 신속히 밝힌 것은 국제사회에 북한 사회의 투명성이 높아졌음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며 “지원을 요청하더라도 남한보다 국제기구에 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말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