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 수급, 8월 3∼4주에 최대 고비”… 정부, 전력저장장치 보급 확대

입력 2012-07-27 21:36

휴가철이 끝나는 다음 달 3∼4주에 예비전력이 위험 수준인 140만㎾ 정도까지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전력난 우려가 계속되자 정부는 대용량 전력저장장치(ESS) 보급 확대 등 비상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은 절전 제품에 대한 세제 혜택 확대를 지시했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27일 정부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하반기 에너지 수급동향을 보고하고 “별도 대책을 세우지 않을 경우 다음 달 3∼4주에는 예비전력이 140만㎾ 수준까지 낮아질 수 있다”며 “만일에 대비해 민간 자가발전기 등 예비전력 수단을 확보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지난 25일 예비전력은 412만㎾까지 떨어져 전력 당국을 긴장시켰다.

전력당국은 예비전력이 400만㎾ 이하로 떨어지면 100만㎾ 단위로 관심(400만∼300만㎾), 주의(300만∼200만㎾), 경계(200만∼100만㎾), 심각(100만㎾ 이하) 등으로 관리 단계를 격상시킨다. 경계단계에서는 긴급절전, 100만㎾ 이하 심각 단계에는 대국민 긴급절전 요청 및 순환단전조치가 들어간다.

상황이 심각하자 정부는 남는 전력을 저장해 수요가 몰리는 시간대에 쓸 수 있도록 하는 전력저장장치를 보급하기로 했다. 내년부터 10㎾∼200㎾급 상업용 ESS, 2015년부터 300㎾급 이상 상업 및 산업용 ESS, 2016년부터 10㎾급 가정용 ESS를 각각 공급할 계획이다. 고압 전력 소비자를 대상으로 시간대별 요금을 차등화하는 ‘계시별 요금제’ 적용도 단계적으로 확대 추진키로 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서울 삼성동 한국전력거래소를 방문해 “절전 제품에 대해 세제 혜택을 추진해야 한다”면서 “지금도 세제 혜택이 조금 있는데 일본처럼 모든 제품을 절전 제품으로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조민영 한장희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