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찰자 없어… 우리금융 매각 결국 무산

입력 2012-07-27 22:17

현 정부에서만 세 번째 추진한 우리금융지주 민영화가 또 불발됐다. 7조원대 공적자금을 회수하려던 정부 계획은 무산됐고, 이자 가중에 따른 국민 부담은 늘어나게 됐다.

금융위원회는 우리금융지주 매각을 위한 예비입찰 마감시한인 27일 오후 5시까지 입찰 제안서를 낸 회사가 없어 유효경쟁이 성립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우리금융 매각은 예비입찰과 최종입찰로 진행된다. 예비입찰은 인수 능력을 가진 회사가 2곳 이상 참여해 경쟁이 붙어야 성립된다. 2010년 10월과 지난해 5월 진행된 1·2차 매각도 유효경쟁이 성립하지 않았었다.

금융위는 다음 달 2일 공적자금관리위원회에서 우리금융 처리 방향을 확정키로 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이번 매각 절차를 계속 진행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라며 “가까운 기간 내에 매각을 재추진하기도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사실상 이번 정부에선 우리금융 민영화를 포기하는 것이다.

입찰 무산은 유력 후보였던 KB금융그룹이 발을 빼면서 예견됐다. 교보생명과 새마을금고도 예비입찰 마감 전날 불참을 결정했다. 이들은 각각 사모투자펀드와 함께 입찰 참여를 준비했었다. 정치권에서 우리금융 민영화 일정을 연기하라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부담감이 컸기 때문이다.

우리금융 민영화는 다음 정부의 몫으로 넘어갔지만 우리금융의 몸집이 큰 데다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인수자를 찾긴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금융권에서는 지금처럼 지분을 한꺼번에 사들이는 일괄 매각이 아니라 쪼개 파는 방식으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정부는 우리금융에 공적자금 12조7663억원을 쏟아부었다. 2002년부터 지난 4월 말까지 전체 공적자금의 44%인 5조6188억원(배당금 포함)을 회수했다. 미회수금 7조1475억원에 예보상환기금채권 발행금리 3.7~3.8%를 적용하면 연간 이자는 약 2700억원이다. 우리금융 민영화 지연으로 매일 7억원 이상씩 세금으로 메워야 한다는 뜻이다.

이팔성 우리금융 회장은 “사모펀드가 참여하려면 설립된 지 3년, 투자 실적 3000억원 이상 등 자격 요건이 굉장히 까다로운데 국내에선 3~4곳에 불과하다”며 “새로운 구조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창욱 진삼열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