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 1호기 8월 초 재가동 불가피”
입력 2012-07-26 18:52
정부가 전력수급 안정화를 위해 고리 원자력발전소 1호기를 재가동키로 했다. 그러나 지역주민, 시민단체, 일부 여야 의원들의 반대가 만만치 않아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홍석우 지식경제부 장관은 26일 “고리 주민과 인내심을 갖고 소통하고 있지만 (주민들이 공동 확인에 계속 반대하는 것은) 국민적 합의를 이루는 것과는 거리가 있어 늦어도 다음 달 3일에는 고리 원전 1호기를 돌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홍 장관은 기자들과 만나 “전력 수요를 조정하는 비용이 하루에 30억가량 들고 있고 블랙아웃(대규모 정전 사태)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까지 고려하면 이를 돈으로 환산할 수 없다”면서 “다음 달 13일부터 고리 1호기의 화력이 100% 나오게 하려면 8월 2∼3일에 가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역주민들과의 합의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지만 계속되는 폭염으로 전력수급이 위기상황을 맞자 고리 원전 1호기 재가동이 불가피하다는 설명이다.
홍 장관은 전력수급 불안정과 관련해 “27일이 최대 고비”라고 우려했다. 지경부는 고리 원전 1호기를 가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8월 하반기에 폭염이 오면 전력 수요가 공급 능력을 초과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반핵부산대책시민위원회는 “고리 원전은 부산과 울산 인근에 위치해 반경 30㎞ 이내에 320만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면서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비슷한 사고가 발생할 경우 엄청난 인명 피해와 경제적 피해가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이날 국회 지식경제위원회에서 열린 한국수력원자력에 대한 긴급현안 질의에서도 고리 1호기 재가동 문제가 논란이 됐다.
민주통합당 등 야당 의원들은 고리 1호기 안전성 문제를 집중 추궁했다. 부산과 경남에 지역구를 둔 여당 의원도 정부의 재가동 방침을 질타했다.
경남 양산이 지역구인 새누리당 윤영석 의원은 “지역주민들과 충분한 소통을 하겠다고 한 게 얼마 지나지 않았는데 고리 1호기를 가동한다는 게 말이 되나”라고 비판했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