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이주 희망 공무원 41% “나홀로”-12% “現 거주지서 출퇴근”… 지원대책 시급

입력 2012-07-25 22:21

세종시 공무원 이주에 비상이 걸렸다.

이주대상 전체 공무원 중 12%가 현재 거주지에서 출퇴근하겠다는 의사를 갖고 있으며, 이주하겠다는 공무원 88% 중 41%는 ‘나홀로 이주’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 사실은 국회 정무위원회 성완종(선진통일당·서산태안) 의원이 요청한 국무총리실 업무보고 자료 중 지난 3∼4월 실시한 세종시 이주 공무원 여론조사 결과에서 나타났다.

25일 이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주대상 공무원 1만155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1만576명 중 88%인 9297명이 세종시로 이주하겠다고 답했다. 하지만 이주의사를 밝힌 공무원 중 41%인 3912명은 ‘가족 없이 혼자 이주하겠다’고 응답했다. 이로써 이주대상 공무원 중 가족과 함께 세종시로 이주하려는 공무원은 절반가량(52%)으로 관계기관의 적극적인 이주대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주 예정자 9297명 중 87%는 세종시 거주를 희망했다. 이어 대전시(6%), 충남도(3%), 충북도(2%) 등이 뒤 이었다.

자녀와 함께 이주하려는 공무원은 47%(4946명)였고 동반 이주 자녀수는 6205명으로 집계됐다. 연령대별 동반자녀 비율은 미취학(39%), 초등학생(35%), 중학생(17%), 고등학생(9%) 순으로 나타났다.

성 의원은 “현재 세종시 내 주택구입시 취득세 감면, 양도세 비과세 요건 완화, 연금 대출한도 확대 등의 공무원 이주·정주 지원 대책이 추진 중”이라며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교육·의료·복지 등 정주요건 확보다”고 말했다.

한편, 세종시의회는 이날 임시회를 열고 “정부와 국회는 세종시를 세계적인 명품도시로 만들기 위해 청와대와 국회의 세종시 이전을 추진하라”고 촉구했다.

시의회는 “세종시 건설사업은 수도권 과밀화 해소와 국가 균형발전을 이루기 위해 1960년부터 추진해온 국가적·역사적 과업이자 대한민국의 명운을 건 최대의 국책사업”이라며 “세종시가 제 역할을 수행하려면 청와대와 국회를 반드시 세종시로 이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세종=정재학 기자 jh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