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온 국민 절전으로 전력대란 위기 넘겨야

입력 2012-07-25 18:45

살얼음판이다. 전국 대부분 지방에 폭염 특보가 내린 어제도 전력수요가 폭증해 오후 2시15분 순간 최대 전력수요가 7315만㎾까지 치솟았다. 예비전력은 375만㎾까지 떨어졌고 전력예비율이 5.1%로 지난해 9월 ‘전력대란’ 이후 가장 낮았다. 예비전력은 400만㎾ 이상 돼야 정상인데 일시적으로 ‘관심’ 단계까지 들어선 것이다.

전력거래소는 오늘과 내일까지 예비전력이 300만㎾대로 떨어져 고비를 맞을 것으로 보고 있다. 더 큰 문제는 기업들이 휴가에서 돌아와 공장을 다시 가동하는 8월 중순 이후다. 지난해 겪었던 블랙아웃(대정전) 상황이 재연될 수 있다.

전력수급이 아슬아슬한데도 아직 정신 못 차린 업체들이 있다. 이랜드 로엠 명동점과 개인의류매장 1곳은 이달 초 냉방기를 가동한 채 문을 열고 영업하다 서울 중구청에 적발돼 5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받았다. 31곳은 경고장을 받았다. ‘나 하나쯤은 괜찮겠지’ 하는 생각으로 당장 눈앞의 이익만 좇아선 안 된다. 대정전으로 입을 엄청난 손실을 생각한다면 정부의 에너지 절약시책에 적극 동참해 대재앙을 막아야 한다. 국민 개개인도 언제든 전력대란이 닥칠 수 있다는 경각심을 갖고 물 쓰듯 전기를 낭비해선 안 된다. 안 쓰는 전기 플러그는 뽑아놓고 불필요한 전원은 끄는 등 일상에서 절전을 실천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정부는 전력대란을 막을 수 있는 단기·중장기 방안을 꼼꼼히 세워 대비해야 한다. 우선 지역주민들과의 갈등으로 아직 가동하지 못하고 있는 고리 원자력발전소 1호기 문제를 서둘러 해결해야 한다. 전기요금 인상도 미룰 일이 아니다. 에너지관리공단 자료에 따르면 최근 40년간 1인당 국민총생산(GNP)이 89배, 휘발유 가격은 65배, 인문계 대학수업료는 192배 인상되는 동안 전기요금은 14배 오르는 데 그쳤다. 그러다 보니 원가회수율은 87.4%에 머물고 있다. 너무 싼 전기요금은 전기를 펑펑 쓰게 하는 요인이다. 아울러 원전 추가 건설 등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위한 장기대책 수립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