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건강주치의’ 생긴다… 市, 보편적 의료서비스 실행 위한 마스터플랜 발표

입력 2012-07-24 23:29


내년부터 서울시민 누구나 보건소에 신청만 하면 ‘건강주치의’가 맞춤형 건강관리계획을 짜주고 관리해준다. 올 하반기엔 의사가 24시간 전화로 상담해주는 ‘건강콜센터’도 설치·운영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24일 서울 신내동 서울의료원에서 모든 시민이 보편적으로, 적정한 수준의 의료서비스를 받도록 구체적 실행 방안을 담은 ‘공공의료 마스터플랜-건강서울 36.5’를 발표했다.

박 시장은 “2005년 73.9세였던 건강수명을 2020년 77세까지 늘리고, 현재 최대 43%인 자치구간 사망률 격차를 2020년까지 33% 이하로 10% 포인트 줄이겠다”고 말했다.

마스터플랜에 따르면 건강주치의제는 보건소마다 6∼7명 의사가 건강검진 후 건강위험 요인이 발견된 시민에게 맞는 건강관리계획을 짜주고 지역사회 건강 프로그램 등과 연결시켜주는 사업이다. 내년부터 5개 자치구에서 시범 시행되며 2014년에 25개 모든 자치구로 확대된다.

시민 건강포인트제도 도입된다. 보건소는 꾸준한 관리가 필요한 고혈압·당뇨병 환자가 민간 병·의원에서 필수 검사와 치료, 교육을 받으면 포인트를 준다. 포인트는 보건소에 등록된 병·의원에서 검사 비용, 예방접종 비용 등으로 현금처럼 쓸 수 있다. 연간 최대 2만 포인트(2만원 상당)를 받을 수 있다.

시는 또 보건소 간호사가 임산부가 있는 집으로 찾아가 건강 상태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종합 관리해주는 영유아·산모 방문 돌봄 서비스도 시행한다. 우선 내년에 출산아 수가 많고 저소득가구가 밀집된 2개 자치구에서 시범 실시한 후 대상을 확대할 방침이다.

치매에 한정됐던 기존 치매지원센터를 노인 보건과 복지를 통합한 개념인 ‘노인건강증진센터’로 확대해 종합 돌봄 서비스(방문건강관리, 치매지원, 건강증진)를 제공하는 사업도 추진한다. 내년에 5개 자치구에서 우선 추진하고 2016년 25개 자치구로 확대한다.

아울러 올해 10월 서울의료원을 시작으로 2015년까지 종합병원 성격의 시립병원 4곳을 보호자가 곁을 지키지 않아도 간호사 등이 간병서비스를 제공하는 ‘보호자 없는 병원’으로 운영한다. 시가 간병비 일부를 지원해 환자 보호자는 1만원 정도만 부담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시는 또 2014년까지 중·소형 보건지소 75곳을 더 만들 계획이다. 이를 통해 현재 보건소 1곳당 70만명에 달하는 인구를 5만∼7만명 수준으로 낮춘다는 것이다. 또 민간 의료기관 50곳을 지정해 올 하반기부터 시민이 야간·휴일에도 진료 서비스를 받기 쉽도록 할 방침이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