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사용 후 핵연료 재처리 필요”

입력 2012-07-24 22:04

원자력 발전을 전담하는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사용 후 핵연료의 재처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수원 김균섭 사장은 24일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과 관련, “국가 간 협정이 어떤 방향으로 결론날지 알 수는 없다”면서도 “사용 후 핵연료 재처리는 필요하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김 사장은 “재처리를 하면 수입에 의존하는 원전 연료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면서 “포화상태인 사용 후 핵연료 임시 저장 시설의 용량 문제도 어느 정도 해소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을 통해 재처리 권리를 확보할 방침이나 핵 비확산 정책을 최우선 과제로 삼는 미국을 설득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게리 세이모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량살상무기(WMD) 조정관은 23일(현지시간) 개정 협상과 관련, “한국은 다른 나라에서 농축 우라늄을 구매할 수 있다”면서 “협상 시한인 2014년까지 시간이 있는 만큼 해결책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주미 한국대사관에서 ‘서울 핵안보정상회의 평가 및 향후 과제’를 주제로 열린 한·미 합동회의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 “한국은 매우 발전된 핵산업을 보유하고 있고, 농축(핵연료 재처리)을 위한 접근을 하고 싶어 한다”면서도 세계적으로 농축우라늄을 확보할 다른 방안이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국은 원전 사용 우라늄의 20∼30%를 미국에서 수입하고 있고, 나머지는 유럽 등에서 들여온다. 그는 “한국이 민수용으로 고농축우라늄(HEU)을 사용할 특별한 이유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1974년 발효된 한·미 원자력협정의 유효시한이 2014년으로 다가와 협정 개정 협상이 진행 중이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우성규 기자 mainpor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