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노령연금 3년간 35만명 미지급”
입력 2012-07-23 19:05
보건복지부는 23일 기초노령연금 미지급 논란으로 소란스러웠다. 기초노령연금이 지난 3년간 35만6000명에게 미지급됐다는 주장 때문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민주통합당 김용익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노령연금 수급비율이 2009년 65세 노인 인구의 68.9%에서 2010년 67.7%, 지난해 67%(382만명)로 매년 1% 포인트 안팎으로 축소됐다”며 “결과적으로 복지부는 지난 3년간 35만명의 기초노령연금을 미지급했으며 이 금액은 3860억원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복지부는 오후에 브리핑을 자청해 “실제 지급률이 70%를 밑도는 것은 사실이지만 ‘미지급’은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최근 3년간 신청자 중 선정기준에 부합해 실제 대상자가 된 사람이 70%에 못 미쳤으니 ‘신청 미달’이라는 주장이다.
언쟁의 배경은 복잡한 수급자 선정과 관련 있다. 노령연금은 신청자를 대상으로 근로소득, 부동산, 금융자산 등을 토대로 소득인정액을 계산한 뒤 하위 70%에게 연금을 지급한다. 비율을 먼저 정해놓고 대상자를 역산하는 방식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대다수 복지제도는 대상자를 선정한 뒤 신청 없이 혜택을 주는 방식인 반면 노령연금은 비율을 놓고 대상자를 역산해 행정비용이 많이 드는 데다 수급자가 자신이 대상인지 모르는 경우가 생긴다”며 “이런 이유로 70%를 정확하게 유지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수급률 하락에 관련자들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기초노령연금이 미래의 복지 시한폭탄이 될 가능성 때문이다. 통계청 인구 추계에 따르면 0∼4세 영·유아는 올해 232만명에서 2030년 210만명, 2060년에는 146만명까지 떨어질 전망. 반면 65세 이상 노인 수는 2010년 540만명에서 2060년 1760만명까지 폭증할 것으로 추산된다.
윤석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현재 국내총생산(GDP) 대비 0.4% 이하인 노령연금은 2050년에는 7배가 뛰어 2.8%까지 상승할 전망”이라며 “현재 상태만으로도 다음 세대가 감당하기 어려운 규모다. 재설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영미 기자 ym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