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사이버테러까지 대비한다더니… 국방부 정전, 인터넷 5시간 ‘불통’

입력 2012-07-20 22:53

서울 용산동3가 국방부 청사에 정전이 발생해 5시간 동안 인터넷이 불통됐다. 북한의 사이버테러에 대비하겠다는 군 당국이 주요 지휘소가 있는 청사 내 전산장비조차 제대로 관리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정전은 20일 오전 1시30분쯤 발생해 전산장비 서버에 영향을 미치면서 국방부 내 모든 인터넷이 멈췄다. 전력 공급은 오전 6시 재개됐지만 인터넷은 오전 7시쯤 일부 부서만 정상화됐고 오후 늦게까지 정상화되지 않은 부서도 많았다.

국방부는 군사작전과 직결된 지휘통제체계(C4I) 서버는 전혀 문제가 없었다고 밝혔지만, 군 작전과 일부 관련이 있는 국방 내부망(인트라넷)도 접속만 가능했을 뿐 전자문서 열람 등 여러 기능이 작동하지 않아 업무에 적잖은 차질을 빚었다.

정전사태는 한국전력에서 송전된 전력이 국방부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거치는 보안장비의 퓨즈에 문제가 생겨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 관계자는 “국방부는 보안문제 때문에 외부 전력이 곧바로 전산장비에 공급되지 않고 보안장비를 거친다”며 “국방부 자체 발전기를 가동해 전력 공급을 시도했지만 곧바로 복구하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디도스(DDoS·분산서비스 거부) 공격 등 북한의 사이버테러에 대비하기 위해 사이버사령부까지 창설한 국방부가 자체 장비 문제로 핵심 지휘부의 서버조차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것이다. 지난해 9월 정전대란 때는 군 전방관측소(GOP)와 해안 레이더기지 등 군부대 124곳에서 전력이 끊겼고, 서울에서도 수도방위사령부 일부 건물과 검문소, 공군 전투비행단 건물 등에서 30∼50분간 전기가 차단됐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