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문화 상생벨트는 ‘담합 벨트’? 문경시, 사업자 선정 싸고 내정설 등 잡음… 경찰 수사
입력 2012-07-19 22:40
정부 국책사업인 ‘녹색문화 상생벨트사업’이 시작 단계에서부터 삐걱거리고 있다.
경북 문경시는 2016년까지 가은읍 일대에 백두대간 생태자원을 활용한 체험공간과 전시문화시설을 건립하는 내용의 녹색문화 상생벨트사업을 2010년 정부 국책사업으로 따냈다.
문경시는 전시시설 설계와 제작비로 280억원을 배정하고 입찰과 심사를 거쳐 올해 1월 한 업체를 선정했다.
그러나 이 전시시설 시공업체 선정 과정에서 문경시가 특정업체를 내정해 놓고 형식적으로 심사를 진행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문경시가 심사위원 추천을 의뢰한 기관의 대표가 선정업체 대표와 친밀한 관계란 점 때문이다.
애초 7개 업체가 입찰에 참여했으나 이런 사실을 안 2개 업체가 심사과정에서 아예 입찰을 포기하기도 했다. 입찰에 참가했던 한 업체 관계자는 “해당업체 대표와 대구경북디자인센터 원장이 모 대기업 디자인실에서 함께 근무해 밀접한 관계란 얘기를 듣고 낙찰이 어렵겠다는 생각을 했다”며 “심사 전과정이 짜고 치는 고스톱 같은 느낌이었다”고 주장했다.
더구나 해당업체 측이 심사 전에 심사위원들과 통화한 것으로 드러나 이런 비리 의혹을 뒷받침하고 있다.
또 심사 당시 시장 업무를 대행한 전 문경부시장이 한 업체로부터 받은 차명 휴대전화(속칭 대포폰)로 지속적으로 업체 관계자와 통화한 정황도 포착됐다. 심사위원 10명 중 7명이 해당업체 대표와 대학 동문이란 점도 의심을 사고 있다.
문경시가 전시시설 업체를 뽑으면서 심사를 조달청이나 행정안전부에 맡기지 않고 굳이 섬유디자인 업무가 중심인 대구경북디자인센터에 맡긴 것도 의심스러운 대목이다.
경북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는 사업자 선정에 여러 의혹이 제기됨에 따라 최근 문경시와 업체, 대구경북디자인센터 등을 압수수색했다. 또 공무원과 업체 관계자 등 10여명을 입건하는 등 대가성에 대해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문경시 관계자는 “적법한 절차에 따라 시공업체를 선정했고 의혹이 제기됐으나 드러난 실체는 없다”고 밝혔다
대구=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