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 무기고 공습”… 美, 이스라엘에 타진
입력 2012-07-20 01:13
코피 아난 유엔·아랍연맹 특사의 요청으로 하루 연기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시리아 제재 결의안에서 러시아와 중국은 19일 거부권을 행사했다. 두 나라가 5개 상임이사국 자격으로 시리아 결의안에 거부권을 행사한 것은 지난 9개월 동안 이번이 세 번째다. 이날 안보리 표결에 참여한 15개국 가운데 11개국이 찬성, 2개국은 기권했다. 시리아 결의안은 유엔 감시단의 임무 기간을 45일 연장하고 아사드 정권이 공격을 중단하지 않을 경우 유엔 헌장 7장을 근거로 제재한다는 내용이다.
미국 정부는 바샤르 알 아사드 시리아 대통령 일가의 42년 철권통치의 종말이 임박했다는 판단에 따라 정권 붕괴 후의 ‘컨틴전시 플랜’(비상계획) 마련에 착수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특히 미 정부는 시리아 정부군이 보유한 것으로 믿어지는 화학무기와 이를 아사드 대통령이 반군과 시민들에게 사용할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복수의 미 정부 소식통은 미 국방부 관계자들이 최근 이스라엘 국방 관계자들을 만나 이스라엘의 시리아 무기시설 공격 가능성 등을 논의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미 백악관의 한 관계자는 토머스 도닐런 백악관 국가안보 보좌관이 지난 주말 이스라엘을 방문해 시리아 사태를 논의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미국 측은 이스라엘이 시리아 무기고 공격에 나설 경우 아사드 대통령이 반(反)이스라엘 감정을 부추겨 시리아 국민의 지지를 호소할 가능성이 있다며 시리아 무기고 공격을 지지하지는 않고 있다고 NYT는 전했다. 미 정부는 시리아 사태가 악화되면서 궁지에 몰리는 아사드 대통령이 화학무기를 이용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우려하고 있다.
폭탄 공격 직후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갖고 아사드의 제3국 축출 등을 통한 시리아 사태 조기종식 방안에 협조해 달라고 압박했다.
미 국무부는 시리아 정부 고위인사 29명의 자산을 동결하고 이들과의 거래를 금지하는 추가 제재를 단행한다고 이날 발표했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bwb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