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실세 금품수수 개인비리냐! 대선자금이냐!… 기로에 선 檢

입력 2012-07-18 19:26

검찰이 정권 말 실세들의 금품수수 의혹을 개인비리 수사로 끝낼지, 대선자금 수사로 확대할 것인지 기로에 섰다.

검찰은 그동안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 등 여권 인사들이 업체 등으로부터 받은 금품을 개인적인 용도로 썼다는 데 초점을 맞춰왔다. 하지만 최 전 위원장이 파이시티로부터 받은 돈을 대선자금으로 썼다고 밝힘에 따라 검찰이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18일 “최 전 위원장이 공판에서 ‘대선 경전 전 언론포럼을 운영하는 데 자금을 대겠느냐’고 한 이야기가 대선자금 수수로 오해된 것 같다”며 진화에 나섰다. 일반적인 여론과는 괴리가 있는 설명이다. 검찰은 최 전 위원장, 이상득 전 새누리당 의원,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 등이 수수한 금품에 대해 “사용처를 확인하겠다”는 수준의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검찰의 부인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받은 자금이 대선자금이라는 진술과 정황이 연이어 불거지고 있다. 최 전 위원장은 17일 공판에서 파이시티로부터 대선경선 자금을 받았다고 시인했다. 그동안 행방이 묘연했던 신한은행의 비자금 3억원이 대선자금 용도로 이 전 의원에게 건네졌다는 진술도 최근에 나왔다. 정 의원은 대선자금을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그분들은 누렸지만 나는 불행했다”며 자신의 금품수수 행위가 대선과 관련 있음을 시사했다.

야당도 연일 대선자금 수사에 나서라고 검찰을 압박하고 있다. 민주통합당은 “검찰은 2007년 8월 한나라당 대선후보 경선에서 이명박 후보에게 아깝게 패한 박근혜 의원의 억울함을 반드시 풀어주라”며 “박 의원은 불법 대선자금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검찰에 수사를 촉구하라”고 밝혔다.

그럼에도 검찰 입장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대선자금 수사는 여러 측면에서 큰 부담이기 때문이다. 수사 기간도 최소 6개월 이상 소요되고, 여야 모두 수사해 형평성도 맞춰야 한다. 정치적으로 매우 민감한 시기여서 수사가 매끄럽게 진행될 가능성도 적다.

검찰의 고민은 여기에 있다. 여권 실세들의 금품수수를 개인비리로 국한할 경우 ‘꼬리 자르기’식 축소 수사를 했다는 비난 여론을 피하기 어렵다. 그렇다고 대선자금으로 수사를 확대하자니 성공하기가 쉽지 않고 정치적 부담도 크다는 것이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