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전초전 방불케한 공방…이석현 “입막음 관봉 5000만원 민정수석실이 기업 통해 조성”
입력 2012-07-19 01:08
19대 첫 대정부질문 전운
여야는 18일 국회 정치 분야 대정부 질문에서 대선 전초전을 방불케 하는 난타전을 벌였다. 19대 국회 첫 대정부 질문임에도 상대 진영을 향한 폭로와 비판이 이어졌고, 국무위원들의 답변에 야유와 고함이 터져 나왔다.
한·일 정보보호협정 밀실 추진의 책임을 물어 전날 김황식 국무총리 해임건의안을 제출한 민주통합당 의원들은 초반부터 김 총리를 몰아세웠다.
김 총리는 “처리 과정에 미숙한 점이 있어 국민에게 오해를 드리고 걱정을 끼쳐 죄송하게 생각한다. 국민 모르게 짬짜미를 해서 처리하려는 의도는 아니었다”며 “통상적 처리였다”고 말했다. 그러나 ‘통상적’이라는 말에 야당 의원들로부터 야유가 쏟아졌다. 김 총리는 또 “국민을 속이는 행동을 했다면 책임지고 물러나겠으나, 일련의 과정에서 정부 입장이나 과정을 안다면 국민이나 정치권도 이해할 수 있는 문제”라며 사퇴를 거부했다.
이어 야당의 칼날은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에게 향했다. 민주당 이목희 의원은 “5·16을 찬양하고 미화하는 건 헌법 부정 아닌가”라고 비판했고, 문병호 의원은 “정수장학회를 국가에 헌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김 총리는 “정수장학회는 진행 중인 재판 결과에 따라 처리될 것”이라면서도 “공익법인이어서 개인 소유와는 관계없다”고 답했다.
민주당 이석현 의원은 민간인 불법사찰 사건에서 입막음조로 건네진 관봉 5000만원이 청와대 민정수석실에서 기업을 통해 조성한 비자금이었다고 폭로했다. 그는 “지난해 4월 (사건을 폭로한) 장진수 전 총리실 주무관에게 준 5000만원은 청와대 업무추진비가 아니라 민정수석실 준비자금”이라며 “이현동 국세청장이 H기업 등 대기업에서 마련해 민정수석실에 제공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가 첩보를 입수하고 수사했으나 위에서 막아 결국 사건을 덮었다”고 따졌다. 이에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이었던 권재진 법무부 장관은 “그런 사실이 없다. 민정수석실이 비자금을 조성한 사실도 없고, 있을 수도 없다”고 반박했다. 국세청도 보도자료를 내고 “이현동 청장 관련 내용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