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문화관… 비움을 채워주는 강변 쉼터 (上)] 여주 강천보 한강문화관

입력 2012-07-18 18:28


지난 5월 개관한 한강문화관 등 4대강 문화관이 지역의 역사·문화와 어우러져 새로운 관광명소로 부상하고 있다. 여름 휴가철을 맞아 시원한 강바람과 물소리, 그리고 강변에 조성된 야외캠핑장과 피크닉장, 자전거길, 카누장 등은 수변레포츠 공간으로도 인기. 여기에 물을 주제로 다양한 전시작품이 볼거리를 더하는 한강문화관(경기도 여주 강천보), 낙동강문화관(부산 을숙도), 금강문화관(충남 부여 백제보), 영산강문화관(광주 승촌보)을 2회에 걸쳐 소개한다.

백로가 알을 품은 형상의 한강문화관은 여주의 남한강변에 위치하고 있다. 한강문화관은 서울과 가까운데다 남한강자전거길의 중간에 위치해 관람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특히 한강문화관 앞에 조성된 물이 흐르는 계단식 조형물은 야외수영장이 없는 여주 어린이들의 물놀이장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물의 소중함을 알리는 4대강 문화관의 전시실은 대부분 비슷한 테마로 만들어졌다. 4대강 사업의 내용을 홍보하는 새물결꿈존, 관람객들의 소망을 담은 희망나눔존, 강과 물을 소재로 세계 유명 작가들의 작품을 전시한 감동소통존, 지역별 강 문화와 역사를 재조명한 물길여행존이 그것이다. 여기에 지역주민들의 문화공간으로 활용되는 주민친화존도 곁들여졌다.

한강문화관에서 가장 관심을 끄는 전시물은 독일 출신 미디어아티스트 율리어스 포프의 ‘bit.fall 4 Rivers’. 구글의 실시간 인기 검색어를 수백 개의 물방울로 표현한 글자가 순간적으로 폭포수처럼 떨어지도록 고안한 작품으로 정보의 최소 단위인 비트(bit)의 흐름을 물방울로 보여준다. 이포보 여주보 강천보의 수변공간을 체험하는 4D영상관, 조선 후기 겸재 정선이 그린 한강의 진경산수화와 현재 모습을 비교해보는 전시물, 증강현실을 통해 이포보를 입체적으로 설명하는 최첨단 장치도 눈길을 끈다.

한강문화관에는 강천보와 남한강의 풍경을 한눈에 조망하는 전망공간도 설치돼 있다. 옥상을 겸한 3층의 전망공원은 벤치에 앉아 휴식을 취하며 강천보 등 주변경관을 감상하는 곳. 강천보에서 쏟아지는 물소리가 폭포수처럼 시원하다. 엘리베이터를 타고 11층 높이의 전망대에 오르면 강천보와 남한강은 물론 여주 시가지가 파노라마로 펼쳐진다. 전시관은 오후 6시에 문을 닫지만 전망공원과 전망대는 야간 관광객을 위해 밤 10시까지 문을 연다.

한강문화관과 강천보가 합작한 진풍경은 해질 무렵부터 시작된다. 황포돛배를 형상화한 강천보는 남한강 최상류에 위치한 보. 시원한 강바람의 마중을 받으며 남한강자전거길이 달리는 440m 길이의 강천보 공도교를 건너면 한강문화관과 강천보가 한눈에 들어오는 해넘이 포인트. 보 아래에 위치한 강심의 바위에는 백로 몇 마리가 날개를 접은 채 자신을 닮은 한강문화관을 응시한다.

서쪽 하늘을 붉게 채색한 석양이 푸른빛으로 바뀔 즈음 강천보와 한강문화관이 파스텔 톤의 은은한 LED 경관조명을 밝힌다. 시시각각 푸른색 초록색 붉은색 노란색 보라색으로 바뀌는 경관조명은 강천보에서 쏟아지는 물줄기마저 색색으로 채색해 산책 나온 시민들과 밤늦게까지 자전거를 타는 라이더들에게 한여름 밤의 황홀한 풍경을 선물한다.

지금도 황포돛배가 유유히 떠다니는 여주는 예로부터 대동강의 평양, 소양강의 춘천과 더불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3대 강촌으로 꼽힌다. 비상하는 백로의 모습을 형상화한 이포보와 측우기를 닮은 여주보 등 남한강 3개 보가 여주에 들어선 게 우연이 아닌 이유다. 황학산수목원, 세종대왕릉, 명성황후생가, 파사산성, 신륵사, 여주도자세상 등 관광명소와 함께 이포보 인근의 웰빙캠핑장과 오토캠핑장도 찾아볼 만하다. 여주쌀밥과 천서리 막국수는 여주가 자랑하는 별미(한강문화관 031-880-6242).

여주=글 박강섭 관광전문기자, 사진 곽경근 선임기자 kspar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