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결선투표제’ 수용… 완전국민경선제 도입도 확정

입력 2012-07-17 22:14

민주 대선 경선 룰 결론

민주통합당이 진통 끝에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와 결선투표를 도입한 당내 대선 후보 경선 룰을 확정지었다. 국내 정당사에서 당원과 국민을 구별하지 않고, 모든 이에게 한 표씩 인정하는 완전국민경선을 실시하는 것은 처음이다.

대선 후보인 문재인 상임고문은 17일 당내 경선 룰 논란과 관련해 ‘비(非)문재인’ 주자들이 요구한 결선투표제 도입을 전격 수용했다. 문 고문 캠프 대변인인 도종환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유·불리를 따지지 않고 대승적으로 결선투표를 수용하겠다”며 “민주당 대선 후보 선출은 정권교체, 정치교체, 시대교체를 열망하는 국민과 함께해야 한다”고 밝혔다.

손학규 정세균 상임고문, 김두관 전 경남지사 등은 환영을 표시했다. 김 전 지사 측 전현희 대변인은 “고뇌에 찬 결단을 존중하고 진심으로 환영한다”며 “새누리당의 마네킹 경선과 달리 공정성 역동성 개방성이 보장된 국민 축제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해찬 대표와 문, 손, 정 고문 및 김 전 지사 측 대리인 4명 그리고 추미애 대선 경선기획단장은 이날 오후 결선투표 여부를 놓고 막판 절충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그러자 문 고문이 결선투표 수용을 지시했다고 한다.

당내 지지율 1위인 문 고문의 결단에 따라 당 지도부는 밤늦게 영등포당사에서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경선 룰을 확정지었다. 18일 당무위원회에서 경선 룰 당규가 처리되면, 민주당은 ‘29∼30일 예비경선(컷오프)→다음달 25일부터 본경선(완전국민경선제)→9월 말 결선투표(완전국민경선제)’의 순서로 대선 후보를 선출하게 된다. 민주당은 2002년과 2007년 대선 경선 때도 일반 국민에게 문호를 개방했지만 반영되는 비율은 제한적이었다. 민주당 계열에서 결선투표를 도입한 것은 1971년 김영삼·김대중 후보가 맞붙은 신민당 대선 경선 이후 처음이다.

문 고문의 결선투표 수용 결단으로 민주당 경선레이스는 탄력을 받게 됐다. 추 단장은 “전국 순회 경선으로 본경선을 치른 뒤 과반수 득표자가 없을 경우 1, 2위가 원샷 결선투표를 진행한다”며 “본경선에서 투표한 선거인단이 결선투표를 다시 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결선투표를 실시할 경우 후보 간 합종연횡이 가능하기 때문에 결과 예측이 어려워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당 관계자는 “문 고문이 통 큰 모습을 과시함으로써 대세론을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경선 판도가 예측불허의 상황으로 빠져들 수 있다”고 말했다. 결선투표제의 세부 방식을 놓고 후보 간 힘겨루기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엄기영 김아진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