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정치권 ‘경제민주화’ 대응 본격화

입력 2012-07-17 21:53

재계가 정치권의 경제민주화 관련 입법화 움직임에 대한 대응을 본격화하고 있다. 17일 오전 한국경영자총협회가 20년 만에 주요기업 인사노무담당 임원들과 긴급회의를 가진 데 이어 오후에는 경제4단체 상근부회장단이 이한구 새누리당 원내대표를 면담했다.

17일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삼성과 현대차, LG, SK 등 30여개 주요기업 인사노무담당 임원이 참석한 가운데 긴급 임원회의를 갖고 국회 환경노동위원회가 ‘여소야대’로 구성된 이후 노동계와 야당의 노정(勞政)연대 움직임에 큰 우려를 표시했다. 경총이 주요기업 인사노무담당 임원들과 긴급회의를 열고 그 결과를 언론에 공개한 것은 노사분규가 심각했던 1992년 이후 처음이다.

김영배 경총 부회장은 “오늘 회의는 정치권의 친노동계 행보와 8월 민노총 총파업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라며 “경영계 전체가 긴밀히 협조하며 대응해야 할 때”라고 회의 배경을 설명했다.

이날 회의는 전날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관계자가 야당 측 환노위 위원들과 회동을 갖고 노조법과 비정규직법 개정을 촉구한 데 자극받은 것으로 보인다. 경총은 최근 양대 노총이 ‘노동관계법 개정을 위한 양 노총·야당 공동대책위’ 구성을 야권에 제안하는 등 대(對)국회 활동을 강화하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경제민주화 흐름에 편승해 환노위 위원들이 친노동계 입법 활동을 벌일 경우 견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경총은 현재(16일 기준) 국회 환노위에 계류된 58개의 법안 중 노조법, 사내하도급법 등 노동계의 입장을 반영한 법안만 35건에 달한다고 강조하며 “노사문제를 둘러싼 양당의 입법경쟁이 고조되면서 노동계의 기대심리도 급상승해 기업 경영에 큰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경제4단체 상근수석부회장단은 경제민주화와 관련해 전날 박지원 민주통합당 원내대표를 만난 데 이어 17일 이한구 새누리당 원내대표를 만나 재계의 입장을 전달했다. 대선을 앞두고 여야가 경쟁적으로 경제민주화 정책을 추진할 경우 자칫 기업의 경영 활동을 위축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표시했다.

권혜숙 기자 hskw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