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해상도시’ 건설 싸고 지자체간 갈등

입력 2012-07-16 19:57


충남 서천군과 전북 군산시가 군산항 앞 해상매립지 활용과 관련, 심각한 갈등을 빚고 있다.

16일 서천군과 군산시에 따르면 서천군 내 ‘군산 해상도시 건설 저지비상대책위원회’는 최근 결의문을 발표, “정부는 금강하구 황폐화를 가속화시켜 서천군민을 사지로 몰아넣는 군산 내항 준설토 투기장 활용방안 구축용역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서천군민이 동의할 수 있는 금강하구 전반에 대한 종합대책 수립을 요구했다.

비대위는 “금강하구와 연접한 서해바다는 새만금사업과 대규모 인공 구조물로 이미 돌이킬 수 없는 환경재앙에 속수무책인 상태”라며 “이같은 상황에서 매립지를 활용한 해상도시 건설은 절대 용납할 수 없는 것으로 이미 쌓여 있는 토사를 새만금 매립토로 활용하는 것만이 최적의 대안”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군산시는 개발에 적극적으로 호응하고 있다. 시는 “매립지가 흉물로 방치돼 개발이 절박한 상황으로 새만금과 연계한 종합관광지 개발을 적극 추진 중”이라며 “‘해양도시 건설’이 아니고 ‘근린공원 조성’이며, 서천군의 반대는 현실과 동떨어진 주장이다”고 밝혔다.

시는 2008년 ‘2020년 군산시 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하면서 이 곳의 용도를 ‘시가화 예정지’에서 ‘근린공원용지’로 바꿨다고 설명했다. 4000억원을 들여 축구장, 수영장 등 종합체육시설과 생태공원 등을 만들 계획이다.

국토부가 개발을 검토 중인 해상매립지는 서해와 금강이 만나는 지점에 있는 군산시 해망동 인공 섬(202만여㎡)이다. 군산시 쪽 육지와는 200m 떨어진 해상에 있다. 이곳은 1985년 군산항 확장공사 때 정부가 준설한 토사를 쌓아 두면서 섬이 됐다.

서천군도 지난달 26일 마서면을 시작으로 최근까지 종천면, 기산면과 서면 등 13개 읍·면을 차례로 돌며 마을 이장과 남여 새마을지도자, 부녀회장 등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군산해상도시 건설 저지 주민 설명회를 갖고 있다.

군 관계자는 “군산해상도시 건설 저지는 군민의 합심단결과 범군민서명운동에 적극 동참해 뜻을 하나로 모으는 데 성패가 달려 있다”며 “앞으로 국토부 관계자를 현장으로 불러 설명회를 개최함과 동시에 군의 입장을 정치권에 전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저지비대위는 3만명을 목표로 한 범군민서명운동을 추진할 계획이다.

대전·군산=정재학 김용권 기자 jh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