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공공부채, 한국 신용등급에 악영향”… S&P, 부채비율·고령화 잠재 위험요인으로 지목
입력 2012-07-16 19:25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우리나라 국가 신용등급에 악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가계·공공부채를 지목했다.
S&P는 16일 국제금융센터가 주최한 세미나에서 가계와 비금융 공공기관의 높은 부채비율, 인구 고령화는 한국 신용등급에 잠재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S&P는 “한국의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수년간 상승하고 있다”며 “노동시장 상황이 더 나빠지면 가계부채가 악화되고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여력이 줄어들 것”이라고 예측했다.
비금융 공공기관 부채의 경우 2008년 이후 빠르게 늘고 있고, 정부의 공공요금 인상 제한조치로 공기업 영업실적이 악화되고 있다는 점을 꼬집었다. S&P는 부채를 떠안고 있는 공기업에 정부 재정지원이 들어가면 국가 신용등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S&P는 은행부문 단기외채 감소, 한국은행 외화보유액 증가, 북한의 원활한 권력승계에 따른 갑작스런 도발·붕괴 가능성 축소 등은 국가 신용등급에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앞으로 1∼2년 뒤 북한 정권이 확실히 안정됐다 판단되면 한국 신용등급에 반영할 것이라고 했다.
김찬희 기자 c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