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경선룰’ 갈등 고조… 文 “선수들이 담합…” vs 孫 “박근혜 같은 얘기”

입력 2012-07-16 19:32

민주통합당의 문재인 상임고문과 나머지 유력 대선 주자들 간 경선 방식을 둘러싼 갈등이 확산일로다. 그동안 침묵을 지켜온 문 고문이 “선수들이 담합해서 자기에게 유리하게 룰을 바꾸자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직격탄을 날리자 손학규 상임고문이 “단합이 아니고? 박근혜 같은 이야기구먼”이라고 반박했다.

문 고문은 16일 평화방송 라디오에 출연해 손학규, 정세균 상임고문과 김두관 전 경남지사가 ‘현재의 룰이 문 고문에게만 유리하다’고 주장한 데 대해 “저는 이제 (막) 당원이 됐다”며 “그분들이야말로 당을 오랫동안 이끌어온, 말하자면 당내 지배세력 아니냐”고 따졌다. 이어 “흥행을 위해 결선투표를 하자는건데 흥행을 시키려면 300만∼400만명이 참여하는 완전국민경선으로 치르면 되지 않느냐”며 “그분들의 요구는 완전국민경선제를 사실상 반대하겠다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문 고문 발언 내용이 알려지자 손 고문은 외신기자클럽 초청 기자회견에 참석했다가 기자들과 만나 “새누리당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민주적 절차를 부정하고 독선적 결정을 해서 비판을 받는 것”이라며 “민주당에 민주주의가 없으면 그것은 당에 생명이 없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 전 지사 측 정진우 캠프 부대변인은 논평에서 “이해찬 대표와 박지원 원내대표의 담합행위를 지지했던 문 고문이 담합 운운하는 것은 적반하장”이라고 비판했다. 정 고문 측 이원욱 캠프 대변인도 “미리 정해놓고 따라오라는 것은 ‘박근혜 사당(私黨)’ 논란과 뭐가 다르냐”고 지적했다.

논란의 불씨는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로 옮겨 붙었다. 비주류인 김한길 최고위원은 이해찬 대표와 대선 주자들 간 조찬 회의가 무산된데 대해 “회의가 취소돼 안타깝다”며 “선수들이 규칙을 만드는 것은 아니지만 이견을 충분히 경청해 반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자 당 대선경선기획단장인 추미애 최고위원이 발언에 나서 “당 정신에 부합하면 절충하겠지만 당헌에 위배되는 주장은 배제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는 당헌에 없는 결선투표제나 국민배심원제 도입에 부정적 입장을 밝힌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추 최고위원 발언 뒤 정세균 고문 측 강기정 최고위원은 “후보들의 입장이 충분히 반영되고 (본선에서) 승리할 수 있는 룰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세 후보의 대리인들과 기획단은 오후 추가 협의를 벌였으나 별 진전을 보지 못했다. 대신 기획단은 빠지고 세 후보 측과 문 고문 측 대리인이 만나 별도로 절충을 벌여보기로 했다.

손병호 김아진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