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성노예’ 명칭 변경 없던일로… 외교부, 정대협 반대 감안

입력 2012-07-16 20:45

외교통상부가 일본군 ‘위안부(comfort women)’의 영문 표기를 ‘성노예(sex slave)’로 변경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그러나 국문 표기는 피해자 단체인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의 반대를 감안해 그대로 ‘위안부’로 쓰기로 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16일 “일본군 위안부의 우리말 표현을 ‘성노예’로 변경하는 문제는 현재로선 계획이 없다”며 “다만 국제문서에는 ‘so called comfort women’에서 ‘sex slave’로 변경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위안부 표기 변경 문제는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이 최근 일본군 위안부를 ‘강요된 성노예(enforced sex slave)’로 지칭했다는 언론 보도가 나오면서 불거졌다. 지난 13일 국회 외교통상통일위 전체회의에서 민주통합당 심재권 의원이 “성노예란 표현으로 바꿔야 하는 것 아니냐”고 질의했고 김성환 외교부 장관이 “검토 용의가 있다”고 답했다.

하지만 정대협 측이 “일본의 전쟁범죄 실상을 드러내기 위해 일본군이 사용했던 위안부 용어를 그대로 써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국문 표기 문제는 사실상 일단락됐다.

외교부 관계자는 “피해자들의 의견이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