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경선 룰’ 갈등 첩첩산중… 문재인 견제 3인방 ‘똘똘’

입력 2012-07-15 22:16


민주통합당의 대선후보 경선방식을 둘러싼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당내 1위 주자인 문재인 상임고문 대(對) 손학규 정세균 상임고문 및 김두관 전 경남지사 등 ‘반문(反文) 3인방’ 간의 룰 협상이 원만히 타결되지 못할 경우 경선 일정에 차질을 빚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반문 3인방’ 대리인들은 15일 국회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독자적인 자체 경선룰 제안과 함께 손·정·김 3인이 16일로 예정된 이해찬 대표와 대선 경선주자 간 조찬모임을 보이콧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손 고문 대리인 조정식 의원과 정세균 고문 대리인 최재성 의원, 김 전 지사 대리인 문병호 의원은 회견에서 “본경선에서 1·2위 후보 간 결선투표제를 도입하자”고 공식 제안했다. 또 현장투표와 모바일투표 이외 배심원단을 만들어 후보를 평가하는 ‘국민배심원단’ 평가도 본경선에 포함시키자고 요구했다. 아울러 역선택 및 대리투표 우려가 높은 모바일투표 비중을 낮추는 대신 현장투표와 배심원단 평가 반영비율을 높여 3개 형식의 평가 반영비율을 ‘1대 1대 1’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오는 29∼30일 실시되는 예비경선(컷오프)에서 1인2표제를 도입하고 컷오프 전에 TV토론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문 의원은 “현재 1위인 후보만 만족해하는 당 대선경선기획단의 (경선룰) 잠정안은 문제가 많다”며 “프로야구도 플레이오프를 거쳐야 진정한 우승자로 쳐준다. 반드시 결선투표제를 실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기획단은 난색을 표하고 있다. 결선투표제는 추가비용이 발생하고 참여율이 저조할 경우 최종 대선후보의 대표성에도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기획단 관계자는 “배심원제도 시간이 많이 걸린다”면서 “모바일투표와 현장투표, 배심원제를 같은 비율로 반영하자는 주장도 당원 및 대의원 영향력을 높여 국민경선제 취지가 훼손된다”고 반대했다.

민주당은 대선주자들 간 추가 협의를 거쳐 오는 18일 경선룰을 확정한다는 방침이지만 이견차가 커 난항이 예상된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