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정권 무덤 된 저축銀 비리] 줄줄이 검은 돈 챙긴 MB 측근·친인척
입력 2012-07-15 19:21
검찰의 저축은행 비리 수사로 이명박 대통령의 친인척과 청와대 참모들이 잇따라 추락하고 있다. 한상대 검찰총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서민을 울리고 국가 경제에 큰 해악을 끼친 저축은행의 구조적 비리는 끝까지 엄단할 것”라고 강조했다. 저축은행비리 합동수사단 출범 이후 약 10개월간 진행된 수사결과 저축은행으로부터 앞다퉈 검은돈을 챙긴 이들은 가장 깨끗해야 할 대통령 친인척과 측근들이었다.
◇사촌 처남에 친형까지=이 대통령의 친형 이상득 전 새누리당 의원이 지난 11일 솔로몬·미래저축은행으로부터 6억원의 불법자금을 받은 혐의로 구속 수감됐다. 그는 국민들에게 “죄송할 뿐”이라고 했다. 이 전 의원 보좌관 박배수씨는 유동천 제일저축은행회장에게 금융당국의 규제 및 검사를 완화해 달라는 청탁과 함께 2009년 5월부터 1년간 6차례 1억5000만원을 받은 것으로 드러나 역시 구속 기소됐다.
2007년 대선 당시 이 대통령의 선거대책위원회 기획본부장을 지낸 정두언 새누리당 의원도 솔로몬저축은행에서 4억여원을 받은 혐의로 불구속 기소될 가능성이 높다. 이 대통령의 사촌처남인 김재홍 전 KT&G복지재단 이사장은 유 회장에게 수억원을 받은 혐의로 1심에서 실형을 선고받았다. 최근 2심 재판 과정에서 판사로부터 “영부인의 친척이라면 더욱 조심해야 했는데도 경솔하게 처신해 누를 끼치고, 국민에게 피눈물을 흘리게 했다”는 질책을 들어야 했다.
◇권력 핵심에 ‘줄댄’ 로비=당초 검찰 안팎에서는 저축은행 비리 수사에서 상호신용금고 명칭을 저축은행으로 바꾸는 과정의 정치권 로비가 주로 드러날 것이라는 관측이 있었다. 하지만 현재까지 수사결과 정치권 인사보다는 이 대통령의 친인척과 측근이 줄줄이 걸려들었다. 부실 저축은행들이 퇴출을 막기 위해 가장 힘센 권력 핵심에 곧바로 줄을 대려는 시도가 많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주요 로비 대상은 이 대통령과 지근거리에 있는 인사들이었다. 가장 먼저 거론된 이는 김해수 전 정무비서관이었다. 그는 2007년 11월부터 3차례 부산저축은행 구명 로비 과정에서 6000만원을 받은 혐의로 불구속 기소됐다. 지난 12일 청와대 경제수석과 정책실장을 지낸 윤진식 새누리당 의원이 2008년 3월 제일저축은행 유 회장으로부터 4000만원을 선거자금 명목으로 받은 혐의로 불구속 기소됐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활동했던 은진수 전 감사원 감사위원도 부산저축은행으로부터 로비 대가로 금품을 수수해 실형을 선고받았다. 이 대통령의 측근인 그는 한나라당 클린정치위원회 네거티브 대책단 BBK팀장을 맡기도 했다.
현직 중에선 김두우 전 청와대 홍보수석이 가장 먼저 불명예스러운 이름을 올렸다. 그는 지난해 9월 부산저축은행 구명 로비를 맡았던 로비스트 박태규씨에게 1억3000만원의 금품을 수수한 혐의를 받았다. 검찰 관계자는 “처음 수사를 할 때만 해도 대통령 측근들이 이렇게 많이 걸려들지 몰랐다. 수사를 하는 우리도 무척 놀랐다”고 말했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