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안싸움 어수선한 새누리] 박근혜, 발빠른 정책행보로 ‘사당화 논란’ 불끄기

입력 2012-07-15 22:11

정두언 의원 체포동의안 부결 파문으로 여의도로 잠시 유턴했던 새누리당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정책 행보를 속개하며 ‘사당화(私黨化) 논란’ 잠재우기에 들어갔다. 사퇴를 공언했던 친박근혜계 이한구 원내대표도 16일 국회 교섭단체 연설에 나서며 복귀 수순에 돌입, 이번 사태가 일단 봉합되는 분위기다.

조윤선 경선 캠프 대변인은 15일 “박 전 위원장이 16일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주최로 열리는 토론회에 참석한 후 17~19일에는 지방 일정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17일에는 당초 13일 방문 예정이던 대구를 찾아 교육 정책을 발표한다. 또 18, 19일은 강원과 부산을 각각 방문한다. 두 지역에서는 안보 및 경제민주화 관련 정책을 제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캠프 관계자는 “강원의 경우 화천, 양구 등 군사 지역을 방문해 안보 및 환경 정책을 제시하고 부산은 문현금융단지를 찾아 경제민주화 및 금융 관련 정책을 제시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특히 저축은행 사태가 촉발된 부산에서 이번 대선의 최대 이슈로 부각된 경제민주화 정책을 구체화할 것으로 보인다.

캠프에서는 정책 행보를 이어가면서 ‘박근혜 1인 사당화 논란’을 조기에 마무리하고 당초 내걸었던 ‘정책 드라마’ 기조로 가능한 빨리 돌아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박 전 위원장이 13일 작심 발언을 한 것을 두고 당 쇄신파는 물론 김문수 경기지사,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 안상수 전 인천시장 등 경선 주자들 사이에서까지 논란이 확산되자 이를 서둘러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특히 경선 선거운동 기간이 시작되는 오는 21일 이전까지 이 문제가 일단락되지 않으면 경선은 물론이고 경선 후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계산이 깔려 있다. 박 전 위원장이 의원총회 참석 바로 다음 날인 14일 예정돼 있던 전남 나주 방문 일정을 소화한 것도 경선에 집중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박 전 위원장은 녹색농촌 체험마을인 화탑마을에서 “우리나라 어디에 살든 어느 분야에서 일하든 열심히 노력하면 꿈을 이루는 나라를 만드는 게 제 바람”이라며 “화탑마을이 이를 실천하는 농촌이라 방문하게 됐다”고 말했다.

때를 맞춰 사퇴 번복은 없을 거라던 이 원내대표가 업무에 복귀하기로 하면서 당내 상황은 표면적으론 진정 국면에 접어들었다. 이 원내대표 측은 일단 이번 회기(8월 3일)까지 원내대표직을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쇄신파 의원들과 경선 주자들의 비판이 쉽게 가라앉지는 않을 전망이어서 박 전 위원장의 국면 전환이 뜻대로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특히 새누리당이 당 차원에서 정두언 의원에게 7월 임시국회 내 불체포특권 포기에 걸맞은 가시적 조치를 스스로 취해 달라며 ‘정무적 행동’을 요구했지만 이게 분명치 않다는 지적이 많다. ‘정두언 파문’의 여진이 당분간 계속될 가능성이 높은 것도 이런 분위기 때문이다.

김현길 유동근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