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MB 측근 중 측근 겨냥 권력형 비리 칼댈지 주목

입력 2012-07-13 22:06

김희중 靑 제1부속실장 저축은 로비 수사

검찰의 저축은행 정관계 로비 수사 명단에 김희중 청와대 제1부속실장 이름이 거론됐다. 김세욱 전 청와대 선임행정관에 이어 두 번째 청와대 실세 인물이 수사 대상에 오르면서 검찰 수사가 권력형 비리로 확대될지 주목된다.

검찰 고위 관계자는 13일 “임석(50·구속기소) 솔로몬저축은행 회장으로부터 김희중 실장이 돈을 받았다는 진술을 확보해 조심스럽게 수사 중”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민정수석실도 이 같은 사실을 전해듣고 사실관계를 조사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저축은행 비리 합동수사단(단장 최운식)은 공식적으로는 “아직까지 확인된 바가 없고 사실과 다르다”며 선을 그었다.

김 실장은 대통령실 바로 옆방에서 근무하며 대통령의 심중을 가장 잘 아는 최측근으로 꼽힌다. 서울시장 시절엔 의전비서관을 역임했고 대선 캠프와 인수위 시절엔 일정을 담당했다.

검찰은 김 전 청와대 선임행정관도 조만간 소환해 조사할 계획이다. 김 전 행정관은 김찬경(56·구속기소) 미래저축은행 회장으로부터 퇴출 저지 청탁과 함께 1억2000만원 상당의 금괴를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김승유 전 하나금융 회장도 본보와의 전화 통화에서 저축은행 문제와 관련, “김세욱 행정관에게 전화를 받았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지난해 9월 저축은행 2차 구조조정 때 하나금융 자회사인 하나캐피탈이 미래저축은행 유상증자에 149억원을 투자하라고 지시했고 유상증자에 성공한 미래저축은행은 잠시 퇴출을 면했다.

검찰은 지난해 9월 저축은행 퇴출 명단에서 솔로몬·미래저축은행이 제외된 과정에 금융감독원과 금융위원회 고위 인사가 관여한 정황도 포착해 수사 중이다. 검찰은 또 세무조사 무마 명목으로 금품을 수수한 정황을 포착해 지난달 서울지방국세청 조사4국 출신의 서울·강원 지역 세무서장 2명을 소환 조사했다. 검찰은 청와대 인사들이 금감원과 금융위의 저축은행 업무 담당 직원들에게 실제 영향력을 행사했는지도 조사할 계획이다.

검찰 관계자는 정례 간담회에서 “영업정지된 저축은행에서 나온 돈이 흘러갔다는 단서가 있고 증거가 있다면 청와대 인사라도 수사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