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새누리당, 이러고도 재집권 꿈꾸나
입력 2012-07-13 18:29
정두언 의원 체포동의안 부결에 따른 정치적 파장을 수습하기 위한 새누리당의 모습이 가관이다. 13일 열린 의원총회에서 대국민 사과, 원내대표단 퇴진 등이 논의됐으나 정 의원의 거취에 대해서는 명확한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이번 임시국회 내 불체포 특권 포기에 맞는 조치를 스스로 취할 것을 촉구한 것이 전부다. 강도 높은 대책을 기대했던 국민의 기대를 무참하게 짓밟았다.
무엇보다 당 지도부의 무능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국회법상 인사에 관한 사항은 무기명 비밀투표로 하기 때문에 이탈표 가능성이 상존하는데도 아무 대비도 하지 않았다. 표결 직전 열린 의총에서 황우여 대표는 정 의원이 스스로 검찰에 나가 명명백백하게 무고함을 밝히고 싶어 한다며 체포동의안 반대를 유도하는 듯한 발언도 했다. 지도부는 의원들 사이에 어떤 움직임이 있는지 파악조차 하지 않고 있다가 일이 터지자 무책임하게 사퇴 카드만 불쑥 내밀었다.
박근혜 경선후보도 책임이 적지 않다. 불체포 특권 포기는 당 비상대책위원장 시절 국민 신뢰회복을 위해 스스로 내놓은 국회 쇄신안이다. 그런데도 본회의는 참석도 않고 대권의 꿈을 위해 충청 지역을 찾아 ‘정부 3.0’이라는 공약을 내세우기에 분주했다. 원칙과 신뢰를 정치적 트레이드마크로 내세우고도 정작 중요한 의사 결정에는 빠졌다.
법논리를 앞세우며 정 의원 도우미를 자처한 이른바 쇄신파 의원들의 행태는 볼썽사납다. 교묘한 논리로 기득권에 악착같이 집착하며 세치 혀로 동료 의원을 속이고 국민을 배반했다. 당 공천으로 금배지를 달고도 당이야 욕을 먹든 말든 아랑곳하지 않은 모습이 후안무치에 가깝다.
새누리당은 말로만 사과하면서 이번 사태를 어물어물 넘어가려고 하지 말고 국민들이 충분히 납득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하기 바란다. 국회 쇄신안 하나 처리하지 못하고도 재집권을 위해 표를 요구할 자격이 있는가. 입만 열면 쇄신을 외치면서 실천하지 않는 새누리당에 대한 국민적 실망감이 적지 않다는 사실을 분명히 기억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