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네거티브 대응팀’ 법률·언론 2개 조직 운영

입력 2012-07-12 19:13

새누리당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경선 및 대선 본선 과정에서 불거질 수 있는 ‘네거티브(흑색선전)’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공식 선거 캠프와 별도로 2개의 외곽 조직을 운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 전 위원장 측 핵심 관계자는 12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경선 캠프와 별개로 비공식 네거티브 대응 조직이 외곽에서 활동하고 있다”며 “법조인 출신들로 구성된 법률대응팀과 언론인 출신들이 주로 참여하는 언론대응팀으로 나뉘어 있고, 멤버 중엔 전현직 의원도 여러 명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네거티브 대응 조직의 주 목적은 법적 소송에 있다”면서 “2007년 경선 때와 가장 큰 차이는 선거가 끝나도 소송을 취하하지 않고 그대로 진행한다는 내부 방침이 확고하다는 점”이라고 덧붙였다.

법률대응팀의 실무를 담당하는 한 인사는 “예상 가능한 네거티브 공격에 법률적으로 어떻게 대응할지 대책을 수립하는 작업이 거의 마무리됐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까지 거론된 흑색선전들은 대부분 박 전 위원장과 무관한 거짓으로 확인됐다”며 “다만 전두환 전 대통령과 관련된 문제와 박 전 위원장이 살았던 서울 성북동 집의 매입 당시 자금 출처 정도가 그나마 남은 숙제”라고 설명했다.

이는 ‘박 전 위원장이 10·26사태 직후 전 전 대통령 측으로부터 현금 6억원을 생계비 명목으로 받았다’는 소문과 ‘영남대 이사장 재직 당시 모 기업 회장에게서 성북동 자택을 무상으로 받았다’는 의혹을 언급한 것이다. 법률대응팀은 캠프 인근의 오피스텔에 사무실을 얻어 경선 과정에서 이 두 가지 문제가 불거질 경우 명예훼손 소송 등 법적 대응 방식과 수위를 놓고 연일 토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언론대응팀은 2007년 한나라당 대선 후보 경선 당시 언론 대응을 맡았던 ‘오벨리스크팀’(사무실이 있던 오피스텔 이름) 멤버들이 주축이라고 한다. 허원제 전 의원을 중심으로 허용범 전 국회 대변인, 4·11총선에서 낙선한 정성근 전 SBS 앵커 등이 여의도의 한 사무실에서 정기적으로 회의를 갖고 있다. 박 전 위원장 측 관계자는 “이들은 캠프 공보팀과 별개로 네거티브 문제가 불거졌을 때 박 전 위원장이 취할 언론 대응 방법 등을 조언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