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F 외교장관 회의 폐막…한·미·일, 3국 정례 협의체 구성
입력 2012-07-13 00:15
아시아·태평양 지역 27개국이 참여하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회의가 12일 오후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열렸다. 회의 참가국들은 북핵 문제와 함께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 미얀마 민주화 등 역내 안보 이슈를 논의했고 참가국 간 최종 조율을 거쳐 의장성명을 채택했다.
특히 한·미·일 외교장관은 3국 협력 강화를 목적으로 한 정례 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김성환 외교장관 등 3국 장관은 공동언론보도문에서 “아태지역 내외에서의 평화, 번영 및 안정을 증진하기 위해 3국 협력을 더욱 발전시킬 필요성을 인정했다”며 “미국 워싱턴에 실무급 운영그룹을 구성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한·미·일 간 삼각 정례 협의체가 출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3국은 실무급 운영그룹을 통해 자연재해, 기후변화, 개발협력, 국제평화유지활동(PKO) 등 범세계적 문제에 관해 의견을 교환하게 될 전망이다. 미 국무부 한국 및 일본과장, 주미한국·일본 대사관 참사관(과장급)이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는 이번 정례 협의체 구성에 대해 “안보 협력과는 관계가 없다”며 선을 그었지만 PKO 등도 다뤄지는 점을 고려할 때 3국 간 군사협력 방안이 논의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3국 장관은 또 지난 4월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탄도미사일 관련 모든 활동을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에 박의춘 외무상이 이끄는 북한 대표단은 ‘장거리 로켓은 인공위성 발사 실험’이라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북한 대표단은 취재진에게 배포한 영문 성명서를 통해 “절대 합법적인 우주개발 주권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고, 평화적인 에너지 개발을 위한 경수로 건설도 포기하지 않겠다”고 주장했다. 박 외상은 전날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등과 양자회담을 가진 데 이어 이날은 인도네시아 등과 외교장관회담을 가졌다. 정부 당국자는 “북한이 과거 친분이 있었던 동남아 국가들에 공을 들이면서 김정은 체제의 정당성을 부각시켰다”고 말했다.
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